초고대의 기술문명은 어디에서 왔는가? 안데스산맥 4천 미터 고지에 있는 티와나쿠, 그리고 푸마푼쿠의 초고대 유적은 외계 방문자들의 흔적일까? 돌도끼를 사용하던 신석기 이전에 지어진 푸마푼쿠의 초고도의 기술문명이 어디에서 왔는지 눈으로 찾아가는 증거들이 하나씩 밝혀진다.
목차
추천사 서문
1 신들의 베이스캠프 호르비거 이론 지구를 돌아다니는 거인 고고학적 증거들 달의 탄생 살아 있는 우주 타와나쿠 발견되다 거석문명의 주인공 빈약한 변명들 포스난스키는 정신병자라고? 반복되는 기후 변화 빙하시대의 달력 거대한 발견 반박할 수 없는 증거 돌도끼로는 불가능하다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푸마푼쿠가 보여주는 새로운 사실
2 태양 아래 새로울 건 없다 미래의기억 지구를 휩쓸던 괴물들 아피스 그리고 다른 키메라들 기이한 뼈의 정체
3 과학적이냐고? 과학적이다! 피라미드 텍스트 신의 중재 외계의 테크놀로지 지구를 굽어보는 에타나
4 신들의 귀환 잔혹한 정복자들 슬픔의 날 십자가 마야 텍스트 드레스덴 코덱스 도대체 어디서 온 지식인가? 토착 원주민들의 증언 마야력의 바퀴 볼론 요크테의 귀환 반드시 2012년일까? 무슬림의 마흐디 귀환을 약속한 지구의 모든 신들 자이나교 똑같은 숫자들 노아, 외계인의 아들 게사르 왕도 천상에서 왔다 그들은 돌아온다! 그들이 남긴 유산들
5 창조의 위대한 정신 페르미 패러독스 세티(SETI, 외계지능 탐색) 해결책들 워프 항법warp drive 우주의 식민지 세우기 범종설panspermia 외계에서 온 빌딩 블록 교회와 외계인 창조의 위대한 정신 밈의 존재 전자는 영원불멸하다 우주로의 진출 진실이 드러나는 날 이제는 제대로 된 지식을!
서가브라우징
한국의 보물선 타임캡슐을 열다 : 처음 만나는 수중고고학의 매력2016 / 글·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공명
한국의 보물선 타임캡슐을 열다 : 처음 만나는 수중고고학의 매력2016 / 글·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그림: 전윤경 /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