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판 머리말 - 호랑이로 키울 것인가, 고양이로 키울 것인가?
1장 현명한 아이교육, 어리석은 아이교육
아이교육에서 최악의 결말은 무엇일까?
부모 자식 간에도 거리가 필요하다
관계중독의 고리를 끊어라
반항하기 시작할 때가 자립의 싹이 움트는 때
무관심을 가장하고 스무 살 전후에 독립시키자
비범한 아이가 평범한 아이가 되는 건 시간문제
아이의 학습 본능을 잃게 만드는 것은 부모다
고분고분한 아이는 비범할 수 없다
인사쯤이야 잘 못해도 괜찮아
팔불출 부모와 어리석은 부모
비범한 아이를 비범하게 키우는 법
아이의 장점과 단점은 동전의 앞뒷면
자연에서 맘껏 뛰어놀게 한 교육의 참담한 결과
편안함과 게으름에 익숙한 아이는 노력을 모른다
아이가 먼저 배워야 할 것은 노력하는 자세
배우지 않고, 일하지 않고, 노력하지 않고
수학 잘하는 아이보다 야구 잘하는 아이가 대접받는 사회?
입학 시험을 경험한 아이가 빨리 자립한다
적어도 8시간은 재우자
잠만 더 잤을 뿐인데 키도 크고 성적도 오르고
최고의 공부는 스스로 답을 찾는 태도를 익히는 것
명문 학교는 자립심 있는 학생을 좋아한다
2장 아이의 자립을 지켜보는 어머니와 방해하는 어머니
아이를 날게 하는 것은 순풍이 아니라 역풍
무리하게 시키면 좌절감만 쌓인다
역풍으로 단련된 아이는 무너지지 않는다
잔소리 안 하면 공부 안 하는 아이는 부모가 만든다
아이가 자기만의 페이스를 만들게 하자
잔소리, 할수록 횟수는 늘고 효과는 사라진다
공부 시간도 식사 시간처럼 즐거울 수 없을까
학교와 학원에 지친 아이, 집에서라도 쉬게 하자
같은 공부도 더 재미있게 할 방법을 고민하자
아이는 내버려둘 때 더 자발적으로 움직인다
지켜보는 부모가 가장 현명하다
아이를 비교하지 말고 아이에게 감사하라
아이를 비난하는 일은 하늘 보고 침 뱉기
비교하는 말은 아이를 망치는 독
아이가 태어나던 순간을 기억하자
감사할 줄 아는 부모가 감사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운다
겁쟁이 엄마가 흔히 하는 변명들
첫째,“우리 아이는 마음이 여려서, 남을 밀어제치다니….”
둘째,“우리 아이는 열심히 해도 안 돼요!”
셋째,“우리 아이는 수학에 자신이 없어서….”
넷째,“해도 해도 안 되는데 어떡하면 좋을까요?”
온순한 아이보다는 강한 아이로 키워라
어설픈 친절이 아니라 진정한 배려를 가르치자
진짜 강하다는 것
약한 사람일수록 허세를 부린다
극복할 수 있는 상처라면 어려서부터 경험하게 하자
다쳐본 아이가 조심한다
소중한 것은 잃어봐야 비로소 깨닫는 법
실패와 상처가 사람을 키운다
3장 학습에 왕도는 없다
아이의 생각을 자극하라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 것이 학습의 왕도
질문하는 것은 평생의 손해
아이의 머릿속을 물음표로 가득 채우자
약한 자만 배려하는 일본 교육계
한마디 말로 스스로 왕따에서 벗어난 아이
아이의 학습은 본능이다
수학을 친근하게 만들어주는 퍼즐의 재미
저절로 수학을 싫어하게 된 아이는 없다
아이의 학습 본능을 믿고 기다리자
효율적이고 낭비 없는 공부법은 없다
성공보다 시행착오에서 더 많이 배운다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
결정하기 어렵다면 아닌 것부터 버리자
편한 것을 경계하라
쉽게 얻은 것은 쉽게 잃는다
머리는 쓴 만큼 좋아진다
수학 공식이 사고력을 망친다
부모도 아이도 필요한 것은 참을성
성취감이 없어도 만족감을 느꼈다면 OK
근력을 키우듯 학습력을 키워라
올바른 운동법과 학습법의 공통점, 부하를 걸어라!
중요한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 찾기
목적이 무엇인지를 기억하자
4장 머리가 좋아지는 공부법, 나빠지는 공부법
중학교 입시와 월드컵의 공통점
성공에는 이유가 없지만, 실패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집중력을 떨어트리는 마의 시간대
실패와 좌절이야말로 최고의 교사
노력은 괴롭기만 할까?
노력의 보상은 결과가 아니라 성장이다
실패했을 때가 아니라 도전하지 않았을 때 후회한다
잘하고 못하고는 적성과 일치하지 않는다
꾸준한 노력은 실전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진짜 학습력은 살아가는 힘을 기르는 것
득점력과 학습력은 다르다
시행착오형 학습과 수순암기형 학습
모의고사 합격·불합격 판정이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
진짜 공부는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
가르침 없이 가르친다
선의는 반드시 옳을까?
좋은 수업, 좋은 교사란?
가르침 없이 가르친다
이렇게 열심인데 왜 실력이 늘지 않는 거야?
연장수업, 보강은 교사가 미리 지불하는 변명
저는‘냉혈교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