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강 문명에 대한 이야기 ― 한국사상을 보는 전제조건
1.1 전통사회의 한국문명은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1.2 현대의 한국은 중국문명을 벗어나 서양문명 속에 편입되고 있다

제2강 언어 및 문자 이야기 ― 언어는 하나의 세계이다
2.1 언어에 대한 철학적 견해
2.2 문자 이야기
2.3 한국사상의 카테고리

제3강 한국의 샤마니즘
3.1 샤마니즘이란 무엇인가?
3.2 굿은 하나의 퍼포먼스이다
3.3 굿에 대한 세 가지 실제적인 보기
3.4 샤마니즘의 기능

제4강 한국사상의 고유성 문제
4.1 한국의 고유사상(1) -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4.2 한국의 고유사상(2) - 풍류도(風流道)를 중심으로

제5강 불교적 세계관의 형성 ― 고타마 붓다를 생각한다
5.1 고타마 붓다(Buddha)의 생애와 불교
5.2 현실에 대한 인식
5.3 함께 사는 길 - 연기(緣起)의 진리
5.4 불교의 진화(進化) 과정

제6강 중국불교의 주요 종파(宗派)와 그 기본 교리(敎理)
6.1 천태종(天台宗)
6.2 삼론종(三論宗)
6.3 유식종(唯識宗)=법상종(法相宗)
6.4 화엄종(華嚴宗)
6.5 율종(律宗)=남산종(南山宗)
6.6 선종(禪宗)
6.7 정토종(淨土宗)
6.8 밀종(密宗)=진언종(眞言宗)

제7강 불교적 세계관의 한국 고대 및 중세에의 전파와 그 영향
7.1 불교의 수용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7.2 고려시대 불교의 발전과 쇠퇴
7.3 조선시대 한국불교의 모습

제8강 유교적 세계관의 형성과 정착, 그리고 중국 중세 성리학적 세계관의 형성과 발전
8.1 유교(儒敎)의 형성과 발전
8.2 유교의 이해를 위한 몇 가지 사항들
8.3 한국인과 유교
8.4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제9강 한국 중세 성리학의 전개와 대표적인 성리학자들
9.1 한국에서 성리학의 전개과정
9.2 한국의 대표적 성리학자들
9.3 한국 성리학의 특징

제10강 조선조 후기 실학사상 들여다보기
10.1 실학(實學)이란 무엇인가?
10.2 조선조 후기 실학사상의 전개
10.3 조선조 후기 실학사상연구의 문제점

제11강 도교(道敎)와 도교의 세계관
11.1 도교란 무엇인가?
11.2 도교경전에 대한 소개
11.3 도교의 세계관

제12강 도교의 신(神)들과 도교적 세계관의 한국 중세사회에의 영향
12.1 도교 세계의 신(神)들
12.2 도교적 세계관의 한국 중세사회에의 영향

제13강 한국의 기층민중을 위하여― 민족 종교적 탐색
13.1 동학사상의 전개와 그 한계
13.2 중산사상의 의미는 무엇인가?

제14강 그리스도교의 도입과 한국 전통사회의 반응 ― 조선시대 유교와 천주교는 왜 사이가 나빴는가?
14.1 사건의 전개
14.2 서학(천주교)의 세계관 - 마테오 리치의 세계관
14.3 유학(성리학)의 세계관 - 주희(朱熹)의 세계관
14.4 조선 유학자들의 서학 비판

제15강 전통과 현대의 갈림길
15.1 농업사회-산업사회-정보사회
15.2 법치(法治)로 가는 길
15.3 ‘국제화’ 시대 전통과 현대의 갈림길

[부록 1] 백파(白坡)와 초의(草衣)의 선(禪) 논쟁
[부록 2] 도교 세계의 신(神)들

용어해설
Contents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동양의 논리는 어디에 있는가 : 박동환 철학선집 동양의 논리는 어디에 있는가 : 박동환 철학선집 2017 / 지음: 박동환 / 사월의책
동양철학 인생과 맞짱 뜨다 : 삶의 지혜를 넘어 도전의 철학으로 동양철학 인생과 맞짱 뜨다 : 삶의 지혜를 넘어 도전의 철학으로 2014 /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동양철학을 말한다 = (A)dialogue on philosophies of the orient 동양철학을 말한다 = (A)dialogue on philosophies of the orient 2016 / 이케다 다이사쿠, 로케시 찬드라 지음 ; 화광신문사 옮김 / 중앙북스
(청소년을 위한)우리 철학 이야기 (청소년을 위한)우리 철학 이야기 2016 / 정진명 글 / 학민사
동양 고전과 역사, 비판적 독법 동양 고전과 역사, 비판적 독법 2014 / 천쓰이 지음 ; 김동민 옮김 / 글항아리
(신화와 근대종교로 본)동아시아의 자국인식 (신화와 근대종교로 본)동아시아의 자국인식 2014 / 임태홍 지음 / 역사공간
또 다른 나, 친구 : 우정에 관한 11가지 철학적 질문 또 다른 나, 친구 : 우정에 관한 11가지 철학적 질문 2014 / 앤서니 그레일링 지음 ; 김고명 옮김 / 중앙books
한국사상과 종교 15강 = Fifteen lectures on Korean thought and religion 한국사상과 종교 15강 = Fifteen lectures on Korean thought and religion 2014 / 황준연 저 / 박영사
우계 성혼 평전 : 벼슬과 부귀를 멀리한 참선비 우계 성혼 평전 : 벼슬과 부귀를 멀리한 참선비 2016 / 지음: 한영우 / 민음사
남溪書院 : 맑은 강물 같은 문화의 흐름 남溪書院 : 맑은 강물 같은 문화의 흐름 2015 / 김기주 지음 / 景仁文化社
(맑은 강물 같은 문화의 흐름)濫溪書院 (맑은 강물 같은 문화의 흐름)濫溪書院 2015 / 김기주 지음 / 景仁文化社
조선, 철학의 왕국 : 호락논쟁(湖洛論爭) 이야기 조선, 철학의 왕국 : 호락논쟁(湖洛論爭) 이야기 2018 / 지음: 이경구 / 푸른역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다산의 사서학 :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다산의 사서학 :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2015 / 차이전펑 지음 ; 김중섭, 김호 [공]옮김 / 너머북스
서양과 동양이 127일간 e-mail을 주고받다 서양과 동양이 127일간 e-mail을 주고받다 2001 / 김용석 ; 이승환 [같이]지음 / 휴머니스트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조용헌의 인생독법 조용헌의 인생독법 2018 / 조용헌 지음 / 불광출판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한민국철학사 대한민국철학사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사랑하지 말자 사랑하지 말자 2013 / 김용옥 지음 / 통나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2018 / 지음: 김형찬 / 바다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2015 / 금장태 지음 / 바오로딸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2012 / 함규진 지음 / 한길사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2013 / 정약용 지음 ; 노만수 엮어옮김 / 앨피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2017 / 지음: 한정주 / 다산북스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지음: 이황, 옮김: 이광호 / 홍익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2015 / 편: 한국철학회 / 철학과 현실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2017 / 지음: 오구라 기조 ; 옮김: 조성환 / 모시는사람들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2003 / 한상우 지음 / 현암사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2010 / 김용헌 지음 / 웅진씽크빅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