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누구의 책임인가?
1. 철밥통인가, 동네북인가?
‧ 공공기업이 ‘동네 북’인 이유
‧ 정부보다 더 커진 공공기업
‧ 국민의 잘못된 생각이 공공기업을 멍들게 한다
‧ 국민생각 1. 사람은 많이 쓰고 요금은 싸게 하되, 적자는 보면 안 된다?
‧ 국민생각 2. 공공기업 임직원의 처우는 낮아야 하지만, 서비스는 최고로 해야 한다?
‧ 국민생각 3. 중요한 일, 적자가 나는 공익적인 일은 정부가 해야 한다?
‧ 헛된 기대를 버려야 공공기업이 바로 선다
2. 누가 기관장이 되어야 할까?
‧ 공공기업의 기관장은 아무나 하나?
‧ 우정사업본부는 2년짜리 사장에게 맡겨도 되나?
‧ 남이 하면 불륜, 내가 하면 로맨스인 낙하산
‧ 지금까지 누가 기관장이 되었나?
‧ 출신별로 장단점이 다르다
‧ 기관장의 이유 있는 항변
‧ 존경받는 기관장의 조건
3.기관장을 위한 9가지 제언
‧ 임명되었으면, 과거를 잊어라
‧ 제언1 과거를 부정하지 마라, 당신도 당할 것이다
‧ 제언2 권위주의도 인기도 버려라, 조직이 건강해질 것이다
‧ 제언3 독불장군이 되지 마라, 레임덕을 앞당길 것이다
‧ 제언4 ‘남 탓, 여건 탓’을 하지 마라, 자격을 의심받을 것이다
‧ 제언5 주무부처에 맞서지 마라, 되는 일이 없을 것이다
‧ 제언6 주업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라, 기관이 인정받을 것이다
‧ 제언7 예산을 ‘내 돈’같이 아껴라, 주인으로 대접받을 것이다
‧ 제언8 공(公)과 사(私)를 엄격히 구분하라, 뒤탈이 없을 것이다
‧ 제언9 공공기업의 숙명을 인정하라, 시행착오가 적을 것이다
‧ 전략가, 세종대왕에게 배운다
4.공공기업의 생태계 살리기
‧ 히딩크가 한국인 감독이었다면
‧ 1 최고(最高)가 아닌 최적(最適)의 기관장을 뽑자
‧ 2 경영진의 처우를 현실화하자
‧ 3 임기를 늘리되, 못하면 교체하자
‧ 4 초보 기관장과 임원을 교육하자
‧ 5 경영실적평가를 강화하자
‧ 6 성과관리의 전문성을 높이고, 자율권을 확대하자
‧ 7 경쟁을 도입하고, 공정 경쟁의 환경을 조성하자
에필로그 주인공이 바로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