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는 가히 ‘노무현 시대’로 불릴 만하다. 긍정적이었든 부정적이었든, 노무현은 5년 임기 동안 대통령으로서, 그 앞뒤로도 ‘희망과 가능성’(2000~2002년), ‘반추와 유산’(2008~2009년)의 아이콘으로 2000년대 내내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어떤 이는 노무현을 생산적 파괴의 희망을 안겨주는 개혁가로 받들었지만, 어떤 이는 파괴의 문법을 일삼는 문제적 인물로 보았다.
목차
제7장 2006년: 열린우리당의 몰락 노무현 탈당 언급, 반년 새 다섯 번 - 1·2 개각과 기간 당원제 파탄 2대 8 가르마의 정치학 - 유시민 청문회 드라마 지방 권력 교체하자 - 여권의 ‘지방 권력 교체론’ 늦게 배운 도둑질 날 새는 줄 모른다? - 이해찬의 3·1절 골프 파문 청맥회는 제2의 하나회? - PK 인사 편중 논란 시네마 폴리티카의 시대? - 강금실 - 오세훈의 이미지 정치 논쟁 한미 FTA는 전형적인 한건주의? - 한미 FTA 논란 개포동·압구정동 평당 3000만원 돌파 - 부동산 투기 광풍 열린우리당의 몰락 - 5·31 지방선거 “내가 임기 중에 뭘 잘못했는지 꼽아보라” - 노무현 지지율 10%대 보은·낙하산 인사에 망가지는 참여정부? - ‘코드인사’ 논란 침몰하는 배의 갑판 풍경 - 열린우리당 재·보선 성적표 ‘0대 40’ 노 정권이 한국 개혁 다 죽였다 - ‘8.3% 정당’ 열린우리당 청와대는 부산 신당이냐 - 노무현과 열린우리당의 이전투구 10분 만 더 공부하면 마누라가 바뀐다 - 학력·학벌 전쟁 영어가 권력이다 - 2006, 대한민국 영어 보고서 ‘뉴욕 라이프 스타일 배우기’ - 휴대전화 4000만 시대
제8장 2007년: ‘노무현’에서 ‘이명박’으로 노무현의 마지막 카드인가 -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 논쟁 걸어 다니는 시한폭탄 - 이명박 논쟁 대통령이 잘못해서 개혁 민주 다 팔아먹었다 - 열린우리당 탈당 사태 개헌 홍보 전쟁 - 노무현의 개헌 집착 노무현은 검투사 - 한미 FTA 타결과 노무현의 개헌 철회 미국에 사죄하는 한국 - 조승희 사건 ‘닫힌우리당’의 ‘살모사 정치’ - 노무현 vs 정동여·김근태 20·30대 최다 사망 원인 ‘자살’ - 88만원 세대의 탄생 3년 9개얼 만에 사라진 ‘100년 정당’ - 열린우리당의 소멸 민주주의는 양당제? - 김대중과 민주당의 충돌 이명박과 박근혜의 이전투구 - 한나라당 경선 손학규-정동영-이해찬의 이전투구 - 대통합민주신당 경선 ‘권력형 비리’로 판명 난 ‘깜도 안되는 의혹’ - 신정아 사건 10·4 선언의 역사적 의미와 갈등 - 제2차 남북 정상회담 『오마이뉴스』의 문국현 띄우기 - 문국현의 창조한국당 창당 “국민이 노망든 게 아닌가” - BBK 주가조작 의혹 이명박 48.7%, 정동영 26.1% - 재17댜 대통령 선거
서가브라우징
한국 현대사 산책. [5]-4권, 1980년대편: 광주학살과 서울올림픽2003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6]-1권, 1990년대편: 3당합당에서 스타벅스까지2006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6]-2권, 1990년대편: 3당합당에서 스타벅스까지2006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6]-3권, 1990년대편: 3당합당에서 스타벅스까지2006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 2000년대 편. [7]-1권, 노무현 시대의 명암2011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 2000년대 편. [7]-2권, 노무현 시대의 명암2011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 2000년대 편. [7]-3권, 노무현 시대의 명암2011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 2000년대 편. [7]-4권, 노무현 시대의 명암2011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
한국 현대사 산책 : 2000년대 편. [7]-5권, 노무현 시대의 명암2011 / 강준만 저 / 인물과사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