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지중해지역원 인문총서. 분배와 융합의 역사로 지중해 문명을 살펴본 책. 고대의 지중해는 페니키아, 카르타고, 그리스인들이 주도하던 교류의 바다였다. 로마제국의 지배하에서도 지중해는 비단, 밀, 향신료로 상징되는 교역의 통로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1장 이슬람-유럽 문명의 지적 교류
1-1 이슬람 문명의 지식 형성과 발전
1-2 유럽의 지적 전통
1-3 지적 교류의 수단들
1-4 맺음말
참고문헌
2장 시칠리아 복수 문명권 사회의 ‘대칭적’ 정체성
2-1 지중해와 시칠리아의 프렉탈 관계
2-2 시칠리아: 지중해 문명의 요람
2-3 남성성과 여성성의 공존
2-4 고맥락 사회의 개인주의 성향
2-5 존재지향성과 행동지향성의 공존
2-6 맺음말
참고문헌
3장 지중해 문명의 문화 규범: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3-1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무엇인가?
3-2 지중해 문명세계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3-3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유형과 사례
3-4 맺음말
참고문헌
4장 르네상스: 이탈리아의 세속화 현상
4-1 르네상스: 지중해 다문화 문명의 배경
4-2 이탈리아 반도의 역사적 배경
4-3 왜 이탈리아인가?
4-4 이탈리아의 세속화 현상
4-5 맺음말
참고문헌
5장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상호관계론적 해석: 지중해의 문명 간 융합
5-1 르네상스: 신화인가 역사인가?
5-2 14~16세기: 전환의 시대
5-3 ‘상호관계론적인 해석’은 무엇인가?
5-4 지중해: 동서 문명의 융합
5-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