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한반도의 미래, 지금 우리에게 달려 있다
1부 발상의 전환: 북한은 한반도의 미래 성장 동력이다
1 창조경제의 답, 북한에 있다
先경제, 後정치
정체적 통합은 유보하고, 경제적 협력부터 시작하자
남북한 협력을 통한 ‘한반도 창조경제’
북한을 활용한 한반도 창조경제의 가능성
창조적 혁신을 기다리고 있는 북한 경제
통일의 손익계산서
독일의 교훈: 비용이 아닌 투자에 쓰자
통일은 주변국에도 이익: 한반도를 개방적 경제권으로
한계에 부딪힌 동아시아 성장모델의 대안
추격형에서 도약형 발전모델로
2 남북한 통합 시나리오
한반도 통합을 위한 이상적 조건
남북한 분리 정책의 적용
우려되는 북한의 중국화
독일식 흡수통일은 몽상인가
급진적 통합과 점진적 통합의 비교
북한 붕괴 시나리오의 문제점
북한에 제2휴전선이 생긴다?
북한의 미래에 대한 4가지 시나리오
내일 급변사태가 온다 해도, 오늘 경제협력은 필요하다
2부 남북한 M&A: 전 국민이 참여하는 한반도 혁신 프로젝트
3 21세기 최고의 M&A
성공적인 M&A 모델의 가능성
남한과 북한은 궁합이 잘 맞는 천생연분
북한의 경제적 이익
남한의 경제적 이익
남북한 인구 통합의 효과
바람직한 인구구성
인구 1억의 새로운 시장 탄생
신규고용 창출 및 장년층 경험 활용
청년실업 문제의 획기적 해법
100세 시대의 2모작 고용창출
제조업의 귀환, 한반도 리쇼어링 전략
노동·자원 분야 진출이 더 효과적
중동 건설붐을 뛰어넘는 기회
4 애물단지에서 보물단지로
북한을 주목하는 투자자들
어느 분야 투자가 유망할까
대륙과 해양의 교차로, 주요거점을 선점하라
유라시아 진출 교통망: TSR/TCR, Asian Highway
새로운 교통망의 경제적 효과
한반도는 동북아 경제협력의 중심
교통·통신·에너지 복합인프라 구축
북한을 관통하는 고속교통망 계획
한반도 에너지망의 구축
북한은 미래 자원의 보고
또 다른 자원, 군대
‘선군先軍’ 정치에서 ‘선경제先經濟’로 전환
북한 군대에 통일의 희망을 심어주자
3부 서울-평양 메가수도권: 동북아 협력의 허브로 키우자
5 메가시티리전 Mega-City Region
네트워크 경제 시대의 도래
‘소유’에서 ‘접속’으로 패러다임 전환
거대한 네트워크 도시, 메가시티리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광역경제권 전략
국가에서 지역으로, 경쟁 단위의 변화
중국의 성공모델
홍콩-광둥성 경제협력 모델
주장 삼각주 사례와 한반도 적용
6 한반도 메가수도권 구상
서울 -평양 네트워크 경제권
한반도 메가수도권으로 발전
수도권 공간 개념의 확장
남북한 경제협력의 최적지
수도권 공간구조의 전환 방향
다핵분산형 네트워크 도시
네트워크 경제에 가장 적합한 모델
메가수도권의 다핵분산형 구조
서해안 도시 연결축의 기대효과
메가수도권 중심 성장전략
단계별 한반도 개발 방안
7 광역경제권 개발 전략
한반도 6대 광역경제권 제안
경제협력 관계에 따른 영역 설정
한반도를 관통하는 K자형 네트워크
경제특구는 광역경제권의 ‘씨앗’
중국 쑤저우 공업원구의 사례
북한의 4대 경제특구가 지닌 잠재력
북한의 새로운 경제특구 추진 현황
메가수도권 지역의 경제특구
개성공단의 확대 발전 가능성
해주 경제특구 발전 가능성
남포 경제특구 발전 가능성
4부 새로운 분업구조: 남북한 네트워크 경제를 구축하라
8 새로운 남북한 분업구조
남북한 분업구조 재편의 원칙
한반도 경제시스템의 수익성 관점
기존산업: 기술혁신 수준에 따른 분업
신성장산업: 남북한 협력으로 공동 추진
기존산업의 분업구조 계획
북한의 기존 산업단지 특성
기존산업의 분업구조 재편 방향
신성장산업의 분업구조 계획
신성장산업의 입지특성 및 산업배치
9 메가수도권의 분업구조 모델 적용
메가수도권의 분업 및 공간구성
메가수도권의 산업배치
북한 인구이동에 대비한 도시공간 구조
기존 방식과 메가수도권 분업의 차이
산업발전 방향의 비교
중국과의 경쟁구도를 피하기 위한 전략
남한 대기업-북한 벤처 협력모델
북한에는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자
대기업의 경제특구 클러스터 모델
세계 시장과의 연결 방안
남북한 물류 표준화 및 시스템 구축
한·중·일 수출입 구조의 재편
수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의 보완
10 참여주체의 역할 및 재원확보
남북한 정부의 역할
기업 및 투자자의 역할
컨소시엄 구성과 투자재원 확보
국제기구의 역할
에필로그: 우리들만의 잔치가 되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