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발간사: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책머리에 망국 책임론을 넘어서
01 러일전쟁 발발, 그리고 한반도의 운명
인천 앞바다에 울린 포성
전시중립선언은 휴지조각이 되고
한일의정서 강요-일본군 한반도 진주의 길을 열다
‘시정개선’을 앞세운 대대적인 고문관 파견
관제 개혁 명목의 대한제국 정부기구 축소
나가모리 프로젝트, 본격적인 이권 침탈의 시작
재정고문 메가타의 화폐정리 사업과 황실 재산 강탈
대한제국 해외 공관 폐쇄-보호국의 길로 들어서다
러시아 차르에게 보낸 고종 황제의 친서들
이용익의 페테르부르크행-러시아에 대한 기대가 실망으로
02 시일야방성대곡-을사늑약의 진실
강대국의 흥정에 맡겨진 대한제국의 운명
친일적인 루스벨트, 대한제국을 외면하다
을사늑약, 그날의 진실
스페셜 테마 : 을사늑약,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
스페셜 테마 : 을사늑약 유무효 논쟁
죽음으로 항거한 사람들과 조약 파기를 촉구한 상소운동
만국공법 체제와 보호국에 대한 인식
스페셜 테마 : 대한제국 지식인들의 만국공법 인식
보호국을 떠나가는 열강들, 해외로 망명한 대한제국 외교관들
국제사회를 향한 호소, 열강의 공동 개입 요청
03 통감부, 대한제국을 장악하다
대한제국의 총감독관, 통감의 탄생
스페셜 테마 : 일본 제국주의 통치에서 통감부의 위치
통감 이토 히로부미, 대한제국에 부임하다
통감부의 내정간섭과 시정개선협의회
황제권의 저항을 막아라
이완용 내각의 성립과 통감의 내정 장악
04 국권 회복을 향한 여러 갈래 길
헤이그 특사단의 피맺힌 절규
헤이그 특사단 파견의 의의와 한계
스페셜 테마 : 일제의 고종 황제 비자금 탈취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
군대 해산과 의병 항쟁의 불길
계몽운동-실력양성만이 살길이다
하얼빈 역에 울린 총소리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동북아 평화 체제 구상
05 대한제국의 종말-일제의 대한제국 병합
일본 관리들, 직접 대한제국 정부에 진출하다
사법권, 경찰 사무까지 빼앗기다
스페셜 테마 : 이토의 ‘자치육성 정책’, 실체는 있는가?
일진회의 정계 진출
망명 개화 정객들의 귀국과 정치 활동 재개
일진회와 권력 지향적 계몽운동 단체의 3파 연합
일진회의 합방 청원운동과 각 정치 세력의 동향
스페셜 테마 : 일진회의 정치 체제 구상, 정합방론
일제의 병합 단행-대한제국,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스페셜 테마 : 일제는 왜 1910년에 병합을 단행했을까?
스페셜 테마 : 병합조약 무효론
06 글을 맺으며_근대 민족(국민)국가 수립을 향한 출발
부록
주요사건일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