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과 중국 : 이해타산으로 맺어진 동맹국은 충돌할 것인가?
발행연도 - 2014 / 지음: 고미 요지 ; 옮김: 김동욱, 박준상, 이용빈 / 한울아카데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46635
-
ISBN
9788946057364
-
형태
277 p. 27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외교, 국제관계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국방/군사/통일
>
북한/통일론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을 독점 인터뷰한 것으로 잘 알려진 저자는 이 책에서 한반도 전문가이자 중국통 저널리스트다운 탁월한 시각과 객관적인 분석으로 김정일의 사망 이후 김정은 체제로 이행하는 과도기는 물론, 김정은 체제의 성립 이후 최근의 북중 관계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왜 중국인가?
제1장 최고 지도자의 사망 보도
사망의 통지
중국은 알고 있었는가?
가장 일찍 지지 표명
상호 통보의 전통
지도자끼리의 연계
핵실험은 직전에 통지
상호 방문
국제정치 훈련
순치 관계
호감도는 최저로
중국도 감쌀 수 없다
냉각된 관계
비판적 여론을 방치
암살 소문
발매 금지 처분
삭제된 부분
느슨해진 보도 규제
제2장 3대 세습과 권력 구조: 후계자를 뒷받침하는 간부와 중국의 관계
왜 세습인가?
소련과 중국
2인자의 쿠데타
충칭 사건
부친과의 비교
김정은의 등장
유훈 통치와 이미지 만들기
유훈의 가치
모친의 우상화
북한의 권력 구도
김정은 시대의 파워 엘리트는 누구인가?
김정은 인맥
최룡해의 고속 출세
한국과 중국이 신뢰하는 장성택
경제특구의 책임자
북한의 덩샤오핑?
심화조 사건
제3장 북한의 외교: 생존하기 위한 전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언
2011년 10월에 넘기다
‘선군 사상’을 지켜라
중국은 북한을 이용한다
소련과 중국, 연이어 한국과 국교 정상화
북미 관계를 가장 중시
군이 발사 강행?
미국의 오해
현금 수입
대가(代價)
안보리에서는 논의와 중국의 행방
예상외의 규탄 성명
5개의 ‘아니오(No)’
관마의 의미
우려는 양국 간에 전해진다
경제 재건을 추구하다
외교 무대에서의 대화는 공개하지 않는다
소원해지니 북중 관계
중국을 두려워하고 싫어한다
탈(脫)중국의 동향
미국의 대북 정책
미국 공격 직전
‘악의 축’, ‘테러 국가’
미국이 공격 할 수 없는 다섯 가지 이유
미국과 중국의 서로 다른 우선순위
높아지는 한국 비판
박근혜와 북한
러시아의 존재감
제4장 식량과 에너지
중국의 개혁‧개방
북한의 의념
‘고난의 행군’에서 활발한 상호 교류로
북한 또한 외국자본을 끌어들여
개혁‧개방의 거부
무역의 70%를 중국에 의존
연이어 최고 기록을 경신하는 북중 무역 규모
투자 고문 회사도 등장
중국발 원유 파이프라인
사라진 우의의 상징
파이프라인을 일시 차단시킨 의도는?
불가결한 화력 발전
고작 연간 100만 톤 확보
제5장 강성대국 구상과 중국식 자본주의: 북한 경제의 미래
강성대국이란?
희천 발전소
목표 달성의 연기
시장, 북한을 구원하다
42배의 격차
화폐 개혁의 실패
중국의 ‘대외 원조’ 외교
무상 원조의 실태
자립을 촉구하는 지원
정부 인도, 기업 차며, 시장 운작
기업 소득세를 3년간 면제
밀착의 배경
중국공산당 외사영도소조의 결정
원자바오의 방북
식량 지원의 실태
북한에 소비문화를
중국 정부의 대금 보증
조선 대풍국제투자그룹
합영투자위원회
해외 연수와 개혁‧개방 시스템
기대감은 부풀어 오르고 있지만……
제6장 방심할 수 없는 이웃: 이용 가치와 안전보장
전략적 자산
미국의 아시아 진출 저지
미국의 작전 계획
역외 균형
체제 유지는 군비를 절약할 수 있다
중국에 대한 비판과 핵심 이익
노예가 되지 말라
북한에 대한 영향력
‘진구 목걸이’ 전략
중국의 딜레마
‘비난 결의’ 채택
제2차 핵실험
전문가 패널
밀무역의 특색
핵 개발의 현재 상황
핵과 미사일의 연관
난민 유입의 저지
최대 200만 명 탈북 예측과 중국의 준비
베를린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을 두려워한다
기아인가?
4월 15일의 배급
북한이 혼란에 빠져도 중국은 이권 확보
비상시에는 북한 영내로 출병할까?
싱크탱크의 견해와 불안정화에 대한 대비
노동력의 대량 수출
중국의 동북 지방 개발에 불가결하다
북한의 지하자원
국경 개발
종장 김정은 체제와 일본 외교
북한과 맞선다고 하는 것
일본의 제재
3대째를 읽어내는 핵심어
내부 대립
스위스 유학
키스신의 허가
중산계급의 출현
휴대전화
파카의 유행
북한의 중산계급
조직화는 곤란하지만
‘평양의 봄’은 일어날 것인가?
외부의 정보
납치 문제의 현황
유골 문제
‘일본인처’의 현황
국교 정상화 담당 대사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는 북한의 속내
납치 문제 해결의 노력과 유골 문제
‘요도 호’범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터무니없는 시비라는 주장
「북일평양선언」을 출발점으로
세대교체의 타이밍을 살려야 한다
참고문헌
부록 1: 「중조우호렵력상호원조조약」 원문
부록 2: 북중 관계사 연표(1945~2014년)
한국어판 후기
옮긴이 후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