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시설을 운영하는 법인이나 직원, 앞으로 직업재활시설을 운영하려고 준비하는 자, 그리고 직업재활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와 학생들에게 직업재활시설의 기본적인 학문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장 직업재활과 직업재활시설의 이해
1. 직업재활에서 직업재활시설의 의미
2. 직업재활시설의 이념적 가치
가. 사회적 역할인지 개선
나. 자연스러운 사회통합
다. 노동기본권
3. 직업재활시설의 발전과정
가. 미국 보호작업장의 발전과정
나. 영국의 보호고용 발전과정
다. 독일 보호작업장의 발전과정
라. 일본 직업재활시설의 발전과정
마. 한국 직업재활시설의 발전과정
4. 직업재활시설의 역할과 기능
5. 직업재활시설과 장애인복지시설
가.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념
나. 장애인복지시설의 유형과 기능
제2장 직업재활시설의 유형과 서비스
1. 직업재활시설의 유형구분
가. 성격에 의한 분류
나. 기간에 의한 분류
다. 역할에 의한 분류
라. 미국 노동부 임금국에 의한 분류
마.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분류
2. 직업재활시설의 서비스
가. 직업재활시설 서비스의 분류
나. 직업재활시설 서비스 과정 및 내용
3. 직업재활시설과 사회적 기업
가. 사회적 기업
나. 사회적 기업과 직업재활시설의 관계
4. 직업재활시설과 중증장애인다수고용사업장
가. 중증장애인다수고용사업장
나. 직업재활시설과의 관계
제3장 직업재활시설의 설치
1. 법인설립과 과정
가. 법인의 종류
나. 사회복지법인 법적 정의
다. 법인의 설립허가 과정 및 실무
2. 직업재활시설 설치와 과정
3. 직업재활시설의 지원과 지도감독
가. 직업재활시설의 지원
나. 직업재활시설의 지도감독
4. 한국장애인개발원과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의 역할
가.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역할
나.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의 역할
제4장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1. 직업재활시설 평가와 인증
가. 직업재활시설 평가
나. 직업재활시설 인증
2. 직업재활시설의 제품 개발
가. 제품의 정의
나. 제품수명주기
다. 신제품개발
3. 직업재활시설의 생산 및 품질관리
가. 생산관리
나. 제품의 품질관리
다. 현장의 안전관리
4. 직업재활시설의 근로자 및 훈련생 선발 및 관리
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대상자
나. 대상자 선발방법
다. 장애인 근로자의 노무관리
5. 직업재활시설의 회계관리
가. 회계의 구분
나. 회계의 기본 원칙
다. 회계의 순환
라. 세무관리
제5장 직업재활시설의 마케팅과 우선구매제도
1. 직업재활시설의 마케팅 개념
가. 마케팅 등장 배경 및 개념
나. 마케팅의 개념
다. 직업재활시설 마케팅의 핵심 개념
라. 마케팅 개념의 발전
마. 직업재활시설 마케팅 믹스
2. 직업재활시설의 마케팅 특성과 전략
가. 마케팅특성과 전략의 이해
나. 직업재활시설의 미션 규정
다. 직업재활시설의 목표 설정 및 환경 분석
라. 직업재활시설 마케팅계획의 수립 및 평가
3. 직업재활시설 생산품의 가격결정
가. 가격결정요인
나. 가격결정법
다. 가격전략
4. 직업재활시설의 유통관리
가. 유통의 형태
나.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
5. 직업재활시설에서 판매촉진
가. 촉진의 개념
나. 판매촉진의 특성
다. PR(Public Relations)
라. 인적판매
6. 직업재활시설 마케팅 전략으로서 우선구매제도
가. 우선구매제도 개념
나. 미국의 우선구매제도(Javits-Wagner-O’Day Act)
다. 한국의 우선구매제도
제6장 각국의 직업재활시설 현황과 과제
1. 한국
2. 미국
3. 독일
4. 일본
5. 영국
6. 스웨덴
가. 연례정기모임(Annual General Meeting, AGM)
나. 이사회 운영(Board of Samhall)
다. 보상위원회(Compensation Committee)
라. 회계감사위원회(Audit Committee)
마. 회계감사단(Auditors)
7. 직업재활시설의 과제
가. 직업재활시설의 정체성 확립
나. 직업재활시설의 인증제도 도입
다. 직업재활시설 수의 확대
라. 직업재활시설 유형 간의 전이와 유상적인 보호고용 기능 활성화
마. 생산직종의 다양화와 우선구매제도 연계
바.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의 근로기준법 적용에 대한 방안 마련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