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간카, 1964~2011 - 유리 류비모프
류비모프 시대의 종막
셰지샤트니키, ‘60년대 人’
브레히트, 타간카 극장의 선언문
‘시’와 ‘시인’, 시대를 담론화하다
도스토옙스키의 질문들
비소츠키, 그는 햄릿
류비모프, 현대 러시아 연극의 마지막 셰지샤트니키
2. 러시아의 민족적 초상 - 표트르 포멘코
‘대지’로서의 무대
포멘코 워크숍
포멘코와 러시아 문학
가정의 완성자로서의 여성
철학적 사유의 공간으로서의 자연
권태, 또는 러시아식 댄디즘
러시아 심리주의 연극의 가장 현대적인 섬
3. 사브리멘닉 극장 반세기 역사 - 갈리나 볼첵
시대에 대한 연극의 책무
사브리멘닉 극장, since 1956
잔혹한 역사, 여성의 운명과 심리
체호프로, 다시 체호프로
프로듀서로서의 책무
4. 텍스트, 봉인된 기억으로부터 다시 읽다 - 겐리에타 이놉스카야
러시아 연극의 민주화
푸른 다리에서 모스크바 젊은 관객 극장까지
그때의 체호프처럼, 우리는 세기말에 살고 있다
카마 긴카스, 삶의 동반자이자 예술적 동지
5. 삶을 지나 '우화'하다 - 카마 긴카스
삶과 죽음의 경계로서의 ‘무대’
체호프의 우화적 지혜
설명이 달린 작은 희곡
공간의 초역사성
세계 속 자아의 양상
인간 삶의 파노라마
삶은 아름다워, 체호프에 의하면!
6. 노래하는 신학 - 아나톨리 바실리예프
예술과 종교의 독특한 관계 맺음
연극, 천재와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
무대, 설계 중인 건축물
시인, 비가를 부르다
숭고를 드러내다
신비와 현실 사이의 관계
무대의 노래하는 신학
7.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던가! - 레프 도진
스튜디오 운동과 말리 드라마 극장
연극의 산문성
역사를 이야기하는 방식
개인의 기억과 집단의 역사
비관적 세계 인식
8. 메이예르홀트 르네상스 - 발레리 포킨
극장의 시인 메이예르홀트
메이예르홀트 전통의 가장 진지한 계승자
1926~2002, 두 개의 검찰관
작가로서의 연출가 수행자 텍스트
검은 인간 흘레스타코프
총체적 스타일로서의 고골
메이예르홀트 르네상스
9. 물질적 상상력의 시학 - 에이문타스 네크로슈스
지형으로서의 리투아니아
텍스트와 텍스트 이후
네크로슈스 무대의 물질
셰익스피어 삼부작의 물질성
경탄하는 마음
10. 공간, 연출가를 지지하다 - 리마스 투미나스
바흐탄고프 극장, 투미나스 시대를 열다
트레플레프 세계혼의 무대에선 <바냐 아저씨>
레르몬토프에서 푸시킨까지, 낭만적 영웅
공간, 연출을 지지하다
11. 생각의 연극 - 세르게이 제노바치
연극 예술 스튜디오
공통된 연대의 힘
예술감독, 연대의 중심축
도스토옙스키와 구원의 테마
연극으로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12. '침묵'과 '사이'의 징후적 독해 - 유리 부투소프
텍스트에 대한 징후적 독해
시적 이미지로서의 아이러니와 패러독스
잔혹한 우화로서의 셰익스피어
<맥베스, 키노>, 또는 꿈
갈매기, 중년의 트레플레프
13. 러시아 연극의 "정치적인 것 The politics" - 키릴 세레브랸니코프
모스크바 예술극장에 선 <테러리즘>
몫 없는 자들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
셈 밖의 이름의 주체화 과정
러시아 정치 연극의 최전선
14. 므하트 MXT 전통의 가장 신중한 상속자 - 민다우가스 카르바우스키스
러시아와 리투아니아의 문화적 경계에서 죽음이란 마음의 변화이다
마야콥스키 극장의 예술감독
극장과 배우에 대한 경배
칸트
15. 소비에트 헤게모니에서 자란 아이들 - 오스카라스 코르슈노바스 - 크쉬쉬토프 바를리콥스키 - 그제고쥐 야쥐나 - 알비스 헤르마니스
리투아니아, 폴란드, 그리고 라트비아
아브라함과 이삭의 테마 - 오스카라스 코르슈노바스
아버지 신화의 몰락 - 크쉬쉬토프 바를리콥스키
연극, 현재에 대한 대답을 위한 최적의 장소 - 그제고쥐 야쥐나
Made in SSSR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알비스 헤르마니스
반복되는 역사의 희로애락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