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차례
역자 머리말
머리말
감사의 글
PART 1 탐구로의 초대
CHAPTER 1 과학과 사회조사
1.1 머리말
1.2 실제에 대한 탐색
1.3 사회과학의 기반
1.4 사회조사의 목적
1.5 사회연구의 변증법
1.6 연구제안서
CHAPTER 2 사회탐구 : 윤리와 정치
2.1 머리말
2.2 사회조사의 윤리적 쟁점
2.3 두 가지 윤리적 논쟁
2.4 사회조사의 정치
CHAPTER 3 탐구, 이론, 패러다임
3.1 머리말
3.2 사회과학 패러다임
3.3 사회이론의 요소
3.4 두 가지 논리체계 재방
3.5 연역적 이론의 구성
3.6 귀납적 이론의 구성
3.7 이론과 조사연구의 연계
3.8 조사윤리와 이론
PART 2 탐구의 구조 : 양적 탐구와 질적 탐구
CHAPTER 4 연구 프로젝트의 목적과 설계
4.1 머리말
4.2 연구의 세 가지 목적
4.3 사례기술적 설명
4.4 법칙정립적 설명
4.5 필요원인과 충분원인
4.6 분석단위
4.7 시간 차원
4.8 연구 프로젝트 설계방법
4.9 연구계획서
CHAPTER 5 표집의 논리
5.1 머리말
5.2 표집의 약사
5.3 비확률표집
5.4 확률표집의 이론과 논리
5.5 모집단과 표집틀
5.6 표집설계의 형태
5.7 다단계 집락표집
5.8 확률표집의 복습
5.9 표집의 윤리
CHAPTER 6 개념에서 측정까지
6.1 머리말
6.2 존재하는 무엇이건 측정하기
6.3 개념화
6.4 기술적 연구와 설명적 연구에서의 정의
6.5 조작화에서의 선택
6.6 측정 질의 판단기준
6.7 측정의 윤리
CHAPTER 7 유형, 지수, 그리고 척도
7.1 머리말
7.2 지수 대 척도
7.3 지수의 구성
7.4 척도의 구성
7.5 유형
PART 3 관찰의 유형 : 양적 관찰과 질적 관찰
CHAPTER 8 서베이 조사
8.1 머리말
8.2 서베이 조사에 적합한 주제
8.3 질문을 위한 지침
8.4 설문지의 구성
8.5 자기기입식 설문지
8.6 면접 서베이
8.7 전화 서베이
8.8 온라인 서베이
8.9 서베이 방법들 간의 비교
8.10 서베이 조사의 장단점
8.11 이차분석
8.12 윤리와 서베이 조사
CHAPTER 9 실험과 실험법
9.1 머리말
9.2 실험에 적절한 주제
9.3 고전적 실험
9.4 피보험자의 선정
9.5 다양한 실험설계
9.6 실험의 예시
9.7 대안적 실험상황
9.8 실험방법의 장점과 단점
9.9 윤리와 실험
CHAPTER 10 비개입적 측정
10.1 머리말
10.2 내용분석
10.3 기존 통계자료의 분석
10.4 비교역사분석
10.5 윤리와 비개입적 측정
CHAPTER 11 질적 현장연구의 패러다임, 방법, 그리고 윤리
11.1 머리말
11.2 현장연구에 적절한 주제
11.3 질적 현장연구 시 특별한 고려사항
11.4질적 현장연구의 패러다임
11.5 질적 현장연구의 실행
11.6 질적 현장연구의 장점과 단점
11.7 질적 현장연구의 윤리적 문제
CHAPTER 12 평가연구 : 유형, 방법, 그리고 쟁점
12.1 머리말
12.2 평가연구에 적절한 주제
12.3 문제의 구성 : 측정의 쟁점
12.4 평가연구설계의 유형
12.5 사회적 맥락
12.6 사회지표
12.7 윤리와 평가연구
PART 4 양적 및 질적 자료분석
CHAPTER 13 질적 자료분석
13.1 머리말
13.2 이론과 분석의 연계
13.3 질적 자료처리
13.4 질적 자료용 컴퓨터 소프트웨어
13.5 양적 자료의 질적 분석
13.6 질적 연구의 질 평가
13.7 질적 자료분석과 윤리
CHAPTER 14 양적 자료분석
14.1 머리말
14.2 자료의 양화
14.3 일원분석
14.4 하위집단 비교
14.5 이원분석
14.6 다원분석 소개
14.7 사회학적 진단
14.8 윤리와 양적 자료분석
CHAPTER 15 정교화 모형의 기원과 패러다임
15.1 머리말
15.2 정교화 모형의 기원
15.3 정교화 패러다임
15.4 정교화와 사후가설화
CHAPTER 16 통계분석의 기법
16.1 머리말
16.2 기술통계
16.3 추리통계
16.4 기타 다원분석기법
CHAPTER 17 사회조사연구의 활용과 생산
17.1 머리말
17.2 사회조사 읽기
17.3 현명한 인터넷 활용법
17.4 사회조사보고서 쓰기
17.5 사회조사 읽기 및 쓰기의 윤리
부록
부록 A 무작위 수
부록 B 카이제곱 분포
부록 C 정상곡선 영역
부록 D 추정 표집오차
참고문헌
용어설명
영문-국문 용어대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