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식성 교육이 문식성의 대화적 속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7명의 구체적인 필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대화적 관점에서 문식성을 바라볼 때, 작문은 양질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능력이다.
목차
서언 감사의 말씀
제I부 독자란 무엇인가 제1장 독자 개념과 성격의 변화 1. 수사학과 독자 1)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 수사학과 독자 2) 현대 신수사학과 독자 2. 작문 이론과 독자 1) 형식주의 작문 이론과 독자 2) 인지적 구성주의 작문 이론과 독자 3) 사회적 구성주의 작문 이론과 독자 4) 대화주의 작문 이론과 독자 제2장 독자 개념의 스펙트럼 1. 독자 개념 범주 1) 자아 독자 2) 수신자 독자 3) 허구적 독자 4) 담화 공동체 독자 2. 독자 다시 보기 1) 맥락 상호작용적 독자 2) 필자의 정체성 협상 파트너로서의 독자
제II부 작문 과정에서 필자는 독자와 어떻게 대화하는가 제3장 작문 맥락과 독자 1. 연구 방법 1) 작문 환경과 과제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과 처리 2. 작문 맥락과 독자 1) 작문 맥락의 범주 2) 사회문화적 맥락과 독자 3) 상호텍스트적 맥락과 독자 4) 상황 맥락과 독자 제4장 작문 과정과 독자 1. 작문 과정의 특성과 조정하기, 그리고 독자 2. 과제 확인/해석하기와 독자 3. 계획하기와 독자 4. 초고 작성하기와 독자 5. 수정/편집하기와 독자
제III부 필자의 대화적 노력은 어떻게 텍스트로 실현되는가 제5장 텍스트의 대화적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 1. 언어학 관련 분야에서의 텍스트의 대화적 특성 연구 2. 작문 이론에서의 텍스트의 대화적 특성 연구 제6장 텍스트에 실현된 대화적 특성 분석 1. 텍스트의 대화적 특성 분석 기준 2. 대화적 관계 구축 전략과 텍스트적 실현 방식 1) 관계 형성 (1) 필자 위치 정하기 (2) 독자 위치 정하기 (3) 필자와 독자의 관계 맺기 2) 신뢰 구축 (1) 필자 신뢰 형성하기 (2) 필자 권위 형성하기 3. 텍스트 매력도 제고 전략과 텍스트적 실현 방식 1) 논리 구축 (1) 사유 중심 논리 구축하기 (2) 자료 제시 논리 구축하기 2) 정서적 호소 (1) 흥미와 관심 유발하기 (2) 공감 유발하기 3) 독자의 이익 제시 (1) 독자의 이익을 말하기 (2) 독자의 불이익을 말하기 4) 반응 대처 (1) 독자 반응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2) 재반론하기 (3) 부정적 반응의 여지를 주지 않기 4. 독자 이해도 제고 전략과 텍스트적 실현 방식 1) 필자 정보 제공 (1) 필자의 대상이나 사태에 대한 태도 표명하기 (2) 필자의 태도에 대한 태도 표명하기 2) 독자의 지식 고려 (1) 사실 정보 추가하기 (2) 해석 정보 제공하기 3) 텍스트 정보 제공 (1) 텍스트 내용 정보 제공하기 (2) 텍스트 구조 정보 제공하기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한 문장도 어려워하던 아이가 글쓰기를 시작합니다 : 변화를 만드는 초등 글쓰기 비법 2021 / 지음: 정재영 / 김영사
우리는 글쓰기를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 매일 쓰는 사람 정지우의 쓰는 법, 쓰는 생활 2021 / 지음: 정지우 / 문예출판사
우리는 글쓰기를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 매일 쓰는 사람 정지우의 쓰는 법, 쓰는 생활 2021 / 지음: 정지우 / 문예출판사
회사에서 글을 씁니다 : 이메일부터 건배사까지 조직에서 무조건 인정받는 직장인의 실전 글쓰기 스킬 2020 / 지음: 정태일 / 천그루숲
회사에서 글을 씁니다 : 이메일부터 건배사까지 조직에서 무조건 인정받는 직장인의 실전 글쓰기 스킬 2020 / 지음: 정태일 / 천그루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