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Ⅰ. 서양의 동양인식과 일본의 조선인식
서양 지리학과 동양인식-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 짓기 / 이진일
1. 문제의 제기
2. 제국주의 정책과 식민지 지리지식의 제도화
3. 19세기 독일 지리학 연구에 따른 동아시아 분류
4. 헤트너와 독일 지역지리학의 발전
5. 맺음말
서구 동양학의 계보와 동양인식-제국주의 시대 동아시아학과 그 학자들을 중심으로 / 정현백
1. 머리말
2. 독일 제국주의와 동아시아
3. 동아시아학의 태동과 제도적 발전
4. 동아시아학자들의 관점과 역할
5. 맺음말
일본의 ‘동양학’과 ‘조선학’의 계보-근대 일본의 식민정책학에 나타난 조선인식 / 이규수
1. 머리말
2. ‘내국식민론’과 ‘해외식민론’
3. ‘동화주의 식민정책’과 ‘자주주의 식민정책’
4. 일본과 식민지와의 ‘결합’
5. 맺음말
Ⅱ. 근대 동아시아의 자의식과 타자인식
일본적 유학의 성립과 그 의미 / 구태훈
1. 머리말
2. 주자학의 수용과 변용
3. 고학의 성립
4. 야마가 소코의 사상 - 인간과 사회
5. 맺음말
위정척사사상가들의 사유구조와 서양인식-화서학파의 경우를 중심으로 / 오영섭
1. 머리말
2. 화서학파의 사유구조
3. 화서학파 대서양인식의 기본구조
4. 맺음말
청일전쟁기 지식인의 국제정세 인식과 세계관 / 최규진
1. 머리말
2. ‘속국체제’와 청국관
3. 문명 인식과 일본관
4. 미국과 러시아, 호감과 공포 사이
5. 맺음말
근대 중국의 민족주의 사조와 아시아 구상의 관계 / 펑춘링
Ⅲ. 동아시아의 문명론과 도덕담론
문명개화론의 계보와 분화 / 김윤희
1. 머리말
2. 개화개념의 기원
3. 개화개념의 대립과 재규정
4. 개화 이후의 개화
5. 맺음말
동도서기론의 구조와 전개양상 / 배항섭
1. 머리말
2. 초기의 동도서기론
3. 동도서기론의 변화
4. 신학구학논쟁과 동도서기론의 소멸
5. 맺음말
일본의 초기 제국주의론과 도덕 담론-국가적 도덕과 세계적 도덕, 또는 국민적 입장과 인류적 입장 / 권석영
1. 머리말
2. 인간의 권리와 본성에 대한 인식
3. 공리주의와 ‘사회’의 범위
4. 세계적 도덕과 도덕사이
5. 제국주의와 ‘지략적 이타심’의 계보 - 이시바시 단잔(石橋湛山)
6. 제국주의적 주장의 세계적 도덕으로의 접근
7. 맺음말
우승열패의 역사인식과 ‘문명화’의 길 / 최규진
1. 머리말
2. 문명과 야만의 역사들
3. 문명으로 가는 지름길
4. 근대의 기획, ‘문명인’ 만들기
5. 맺음말
Ⅳ. 동아시아 지성의 교류와 응용
레지스(Regis)와 강희 『황여전람도』의 제작 / 탄슈린
1. 레지스가 중국에 오다
2. 『황여전람도』의 제작 동기와 그 과정
3. 『황여전람도』의 영향과 레지스의 역할
‘신사유람단’과 ‘영선사’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근대화-동아시아사 연구에서 한국의 지위(地位) 문제를 겸론하여 / 왕신레이
1. 머리말
2. ‘신사유람단’과 ‘영선사’에 대한 개설
3. 조선 관찰자의 눈에 비 친 중·일 근대화의 광경
4. 맺음말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와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의 교류-자이잔로(在山樓)문고 자료를 중심으로 / 시라이준
1. 머리말
2. 1890년대의 두 사람
3. 그 후의 두 사람
4. 결론을 대신 하여
부록자료
정체(政體)와 문체(文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언어정치학과 조소앙(趙素昻)-한문자(漢文字)의 맹서(盟誓), 조소앙의 선언·성명·강령 집과 『한국문원(韓國文苑)』을 중심으로 / 황호덕
1. 정체(政體)와 문체(文體), 임정(臨政)의 에크리튀르 - 망명문체(亡命文體)와 망명정체(亡命政體)
2. 한문맥(漢文脈)과 국맥(國脈), 임정문서(臨政文書) 전고주의(典故主義) - 조소앙(趙素昻)의 인고설(引古說)과 고유주권론(固有州權論)
3. 교전(交戰)의 번역(飜譯), 임정(臨政)의 영문 - 조소앙(趙素昻)의 외교공한(外交公翰)과 임시정부(臨時政府) 교전단체(交戰團體)론
4. 국망이문역망(國亡而文亦亡)에서 문망연후국내진망(文亡然後國乃眞亡)까지 - 『한국문원(韓國文苑)』 의 통발(筌)과 고기(漁)
5. 문학(文學), 표상(表象), 혹은 맹서(盟誓) - 문언일치(文言一致)와 언행일치(言行一致) 사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