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동아시아 지성의 계보와 역사인식'이라는 중점연구소 과제로 진행된 총서의 두번째 결과물이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가 2010년도 정부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어 출판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문

Ⅰ. 서양의 동양인식과 일본의 조선인식
서양 지리학과 동양인식-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 짓기 / 이진일
1. 문제의 제기
2. 제국주의 정책과 식민지 지리지식의 제도화
3. 19세기 독일 지리학 연구에 따른 동아시아 분류
4. 헤트너와 독일 지역지리학의 발전
5. 맺음말
서구 동양학의 계보와 동양인식-제국주의 시대 동아시아학과 그 학자들을 중심으로 / 정현백
1. 머리말
2. 독일 제국주의와 동아시아
3. 동아시아학의 태동과 제도적 발전
4. 동아시아학자들의 관점과 역할
5. 맺음말
일본의 ‘동양학’과 ‘조선학’의 계보-근대 일본의 식민정책학에 나타난 조선인식 / 이규수
1. 머리말
2. ‘내국식민론’과 ‘해외식민론’
3. ‘동화주의 식민정책’과 ‘자주주의 식민정책’
4. 일본과 식민지와의 ‘결합’
5. 맺음말

Ⅱ. 근대 동아시아의 자의식과 타자인식
일본적 유학의 성립과 그 의미 / 구태훈
1. 머리말
2. 주자학의 수용과 변용
3. 고학의 성립
4. 야마가 소코의 사상 - 인간과 사회
5. 맺음말
위정척사사상가들의 사유구조와 서양인식-화서학파의 경우를 중심으로 / 오영섭
1. 머리말
2. 화서학파의 사유구조
3. 화서학파 대서양인식의 기본구조
4. 맺음말
청일전쟁기 지식인의 국제정세 인식과 세계관 / 최규진
1. 머리말
2. ‘속국체제’와 청국관
3. 문명 인식과 일본관
4. 미국과 러시아, 호감과 공포 사이
5. 맺음말
근대 중국의 민족주의 사조와 아시아 구상의 관계 / 펑춘링

Ⅲ. 동아시아의 문명론과 도덕담론
문명개화론의 계보와 분화 / 김윤희
1. 머리말
2. 개화개념의 기원
3. 개화개념의 대립과 재규정
4. 개화 이후의 개화
5. 맺음말
동도서기론의 구조와 전개양상 / 배항섭
1. 머리말
2. 초기의 동도서기론
3. 동도서기론의 변화
4. 신학구학논쟁과 동도서기론의 소멸
5. 맺음말
일본의 초기 제국주의론과 도덕 담론-국가적 도덕과 세계적 도덕, 또는 국민적 입장과 인류적 입장 / 권석영
1. 머리말
2. 인간의 권리와 본성에 대한 인식
3. 공리주의와 ‘사회’의 범위
4. 세계적 도덕과 도덕사이
5. 제국주의와 ‘지략적 이타심’의 계보 - 이시바시 단잔(石橋湛山)
6. 제국주의적 주장의 세계적 도덕으로의 접근
7. 맺음말
우승열패의 역사인식과 ‘문명화’의 길 / 최규진
1. 머리말
2. 문명과 야만의 역사들
3. 문명으로 가는 지름길
4. 근대의 기획, ‘문명인’ 만들기
5. 맺음말

Ⅳ. 동아시아 지성의 교류와 응용
레지스(Regis)와 강희 『황여전람도』의 제작 / 탄슈린
1. 레지스가 중국에 오다
2. 『황여전람도』의 제작 동기와 그 과정
3. 『황여전람도』의 영향과 레지스의 역할
‘신사유람단’과 ‘영선사’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근대화-동아시아사 연구에서 한국의 지위(地位) 문제를 겸론하여 / 왕신레이
1. 머리말
2. ‘신사유람단’과 ‘영선사’에 대한 개설
3. 조선 관찰자의 눈에 비 친 중·일 근대화의 광경
4. 맺음말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와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의 교류-자이잔로(在山樓)문고 자료를 중심으로 / 시라이준
1. 머리말
2. 1890년대의 두 사람
3. 그 후의 두 사람
4. 결론을 대신 하여
부록자료
정체(政體)와 문체(文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언어정치학과 조소앙(趙素昻)-한문자(漢文字)의 맹서(盟誓), 조소앙의 선언·성명·강령 집과 『한국문원(韓國文苑)』을 중심으로 / 황호덕
1. 정체(政體)와 문체(文體), 임정(臨政)의 에크리튀르 - 망명문체(亡命文體)와 망명정체(亡命政體)
2. 한문맥(漢文脈)과 국맥(國脈), 임정문서(臨政文書) 전고주의(典故主義) - 조소앙(趙素昻)의 인고설(引古說)과 고유주권론(固有州權論)
3. 교전(交戰)의 번역(飜譯), 임정(臨政)의 영문 - 조소앙(趙素昻)의 외교공한(外交公翰)과 임시정부(臨時政府) 교전단체(交戰團體)론
4. 국망이문역망(國亡而文亦亡)에서 문망연후국내진망(文亡然後國乃眞亡)까지 - 『한국문원(韓國文苑)』 의 통발(筌)과 고기(漁)
5. 문학(文學), 표상(表象), 혹은 맹서(盟誓) - 문언일치(文言一致)와 언행일치(言行一致) 사이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고집불통 고대사 다시 쓰기 : 한·중·일 고대사 16가지 비밀과 진실 고집불통 고대사 다시 쓰기 : 한·중·일 고대사 16가지 비밀과 진실 2015 / 지음: 이준한 / 주류성
동북아시아 철기문화 연구의 새로운 움직임 동북아시아 철기문화 연구의 새로운 움직임 2018 / 엮음: 한림고고학연구소 / 역사공간
한일고대사유적답사기  : 영산강에서 교토까지, 역사의 질문을 찾는 여행 한일고대사유적답사기 : 영산강에서 교토까지, 역사의 질문을 찾는 여행 2008 / 홍성화 지음 / 삼인
고대 중국에 빠져 한국사를 바라보다 고대 중국에 빠져 한국사를 바라보다 2016 / 지음: 심재훈 ; , / 푸른역사
고대 중국에 빠져 한국사를 바라보다 고대 중국에 빠져 한국사를 바라보다 2016 / 지음: 심재훈 ; , / 푸른역사
동아시아 역사학 선언 : 근대 동아시아에 나타난 역사적 전환들 동아시아 역사학 선언 : 근대 동아시아에 나타난 역사적 전환들 2021 / 지음: 강상규 / 에피스테메 :
동아시아 역사학 선언 : 근대 동아시아에 나타난 역사적 전환들 동아시아 역사학 선언 : 근대 동아시아에 나타난 역사적 전환들 2021 / 지음: 강상규 / 에피스테메 :
근대전환기 동·서양의 상호인식과 지성의 교류 근대전환기 동·서양의 상호인식과 지성의 교류 2013 / 저자: 구태훈 외 / 선인
근대 동아시아의 공간 재편과 사회 변천  = Spatial organization and social change in modern East Asia 근대 동아시아의 공간 재편과 사회 변천 = Spatial organization and social change in modern East Asia 2015 / 글쓴이: 우쑹디, 저우쯔펑, 이영호, 이시키와 료타, 박준형, 양지혜, 린위루, 하세봉, 야오융차오, 딩셴융, 왕저, 우링페이, 옮긴이: 임찬혁 ; 엮은이: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중국 복단대학 역사지리연구중심 / 소명출판
동아시아의 근대, 그 중심과 주변 동아시아의 근대, 그 중심과 주변 2013 / 김선민 ; 윤욱 ; 조성산 ; 홍윤희 [공]지음 / 소명출판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2017 / 지음: 와다 하루키, 고토 겐이치, 기바타 요이치, 야마무로 신이치, 조경달, 나카노 사토시, 가와시마 신 ; 옮김: 한철호, 이규태, 심재욱 / 책과함께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2017 / 지음: 와다 하루키, 고토 겐이치, 기바타 요이치, 야마무로 신이치, 조경달, 나카노 사토시, 가와시마 신 ; 옮김: 한철호, 이규태, 심재욱 / 책과함께
문명들의 대화 문명들의 대화 2006 / 뚜웨이밍 지음 ; 김태성 옮김 / 휴머니스트
제국의 폐허에서  : 저항과 재건의 아시아 근대사 제국의 폐허에서 : 저항과 재건의 아시아 근대사 2013 / 판카지 미슈라 지음 ; 이재만 옮김 / 책과함께
한 단어 사전, 공사 (公私) 한 단어 사전, 공사 (公私) 2013 / 미조구치 유조 지음 ; 고희탁 옮김 / 푸른역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본격 한중일 세계사. 6, 여명의 쓰나미 본격 한중일 세계사. 6, 여명의 쓰나미 2020 / 지음: 굽시니스트 / 위즈덤하우스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2, 테마로 읽는 사람과 교류의 역사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2, 테마로 읽는 사람과 교류의 역사 2012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옆으로 읽는)동아시아 삼국지. 1 (옆으로 읽는)동아시아 삼국지. 1 2013 / 이희진 지음 / 동아시아
키스, 동양의 창을 열다 : 영국 화가가 그린 아시아, 1920~1940 키스, 동양의 창을 열다 : 영국 화가가 그린 아시아, 1920~1940 2015 / 엘리자베스 키스 지음 ; 송영달 옮김 / 책과함께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2016 / 김시덕 지음 / 메디치
고집불통 고대사 다시 쓰기 : 한·중·일 고대사 16가지 비밀과 진실 고집불통 고대사 다시 쓰기 : 한·중·일 고대사 16가지 비밀과 진실 2015 / 지음: 이준한 / 주류성
'동아' 트라우마 : 식민지/제국의 경계와 탈경계의 경험들 '동아' 트라우마 : 식민지/제국의 경계와 탈경계의 경험들 2013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유선영, 차승기 엮음 / 그린비
제국의 폐허에서  : 저항과 재건의 아시아 근대사 제국의 폐허에서 : 저항과 재건의 아시아 근대사 2013 / 판카지 미슈라 지음 ; 이재만 옮김 / 책과함께
한 권 동양사 : 쉽게 읽고 오래 남는 중국사와 아시아사 한 권 동양사 : 쉽게 읽고 오래 남는 중국사와 아시아사 2018 / 이만적 지음 / 중앙books
유라시아주의의 재해석 : 새로운 인문지리로서의 유라시아 유라시아주의의 재해석 : 새로운 인문지리로서의 유라시아 2016 / 엮음: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 민속원
동아시아의 '근대' 체감  = 'Modern' experience of East Asia 동아시아의 '근대' 체감 = 'Modern' experience of East Asia 2018 / 엮은이: 박경석 ; 지은이: 이기훈 ; 저우쥔위 ; 권보드래 ; 옌싱루 ; 함동주 ; 장칭 ; 박경석 ; 오사와 하지메 ; 롄링링 / 한울아카데미
동아시아사를 보는 눈 동아시아사를 보는 눈 2017 / 지음: 유용태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동아시아 청동기문화의 교류와 국가형성 동아시아 청동기문화의 교류와 국가형성 2012 / 김정열 ; 오강원 ; 이청규 ; 최몽룡 ; 심재훈 ; 미야자토 오사무 ; 니콜라이 아나톨리에비치 보코벤코 ; 디마자브 에르덴바타르 [공]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엮음 / 학연문화사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2, 테마로 읽는 사람과 교류의 역사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2, 테마로 읽는 사람과 교류의 역사 2013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 / 휴머니스트
종횡무진 동양사 종횡무진 동양사 2017 / 지은이: 남경태 / Humanist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