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가공 처리 측면에서 본 신소재.신재료의 개발, 금속계, 고분자계, 세라믹계, 복합계, 용도별로 이루어져 신소재.신재료 전반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생과 현장에 종사하는 기술자에게도 매우 긴요하고 필수적인 과목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1 재료분야의 전환점과 배경
1-2 재료의 선택
1-3 재료의 개발과 다양한 기술
1-4 새로운 재료의 개념
제2장 가공 처리 측면에서 본 신소재·신재료의 개발
2-1 철(Fe)의 극세 섬유
2-2 새로운 합성섬유
제3장 금속계 신소재·신재료
3-1 파인 스틸(fine steel)
3-2 초내열 합금
3-3 분말 야금 금속
3-4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3-5 티타늄과 티타늄 합금
3-6 초소성 재료
3-7 비정질 합금
3-8 금속간 화합물
3-9 형상 기억 합금
3-10 경량화 샌드위치 강판
3-11 수소 저장 합금
3-12 자성 재료
3-13 초전도 재료
3-14 알루미늄 허니콤 판
3-15 금속 초미립자
3-16 희귀금속
3-17 고순도 금속
3-18 리드 프레임 금속
3-19 비정질 실리콘
3-20 갈륨·비소
3-21 초격자 재료
3-22 클래드 강판·샌드위치 강판
3-23 표면 개질 금속
3-24 광 반도체 재료
3-25 디스플레이 재료
3-26 자성 유체
3-27 경사 기능 재료
3-28 열전 변환 소자 재료
3-29 자기 냉동기 재료
제4장 고분자계 신소재·신재료
4-1 고기능성 분리막
4-2 흡수성 고분자
4-3 전도성 고분자
4-4 액정 고분자
4-5 폴리프로필렌
4-6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4-7 폴리메타아크릴산 메틸
4-8 플루오르 수지
4-9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4-10 폴리아세탈
4-11 ABS 수지
4-12 폴리카보네이트
4-13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4-14 폴리아릴레이트
4-15 폴리에테르 술폰
4-16 폴리술폰
4-17 폴리페닐렌 술파이드
4-18 폴리아미드
4-19 폴리이미드
4-20 폴리아미드이미드
4-21 폴리에테르이미드
4-22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4-23 강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4-24 폴리머 알로이
4-25 생분해성 플라스틱
4-26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4-27 형상 기억성 섬유
4-28 광학용 플라스틱
제5장 세라믹계 신소재·신재료
5-1 티타니아
5-2 칼루시아
5-3 알루미나
5-4 실리카
5-5 지르코니아
5-6 산화철
5-7 질화알루미늄
5-8 머시너블 세라믹스
5-9 탄소
5-10 질화규소
5-11 탄화규소
제6장 복합계 신소재·신재료
6-1 금속기 복합 재료
6-2 섬유 강화 플라스틱
6-3 세라믹스 복합 재료
제7장 용도별 신소재·신재료
7-1 항공·우주용 재료
7-2 자동차용 재료
7-3 가전제품용 재료
7-4 컴퓨터용 재료
7-5 건축용 재료
7-6 바이오 기능성 재료
7-7 전자파 실드용 재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