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학자, 환경 전문가, 저널리스트 등은 현재 일본이 놓인 현실에서 출발해 복지사회 스웨덴의 운영 방식을 분석한다. 또한 스웨덴 복지 정책을 다룬 다른 책들하고 다르게 총론 수준을 넘어 스웨덴의 국가 체제, 이념, 복지 정책을 치밀하게 분석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스웨덴 모델, 여전히 유효한가 / 조흥식 서문 지금, 왜, 또 스웨덴인가 / 레그란드 츠카구치 도시히코
1부 스웨덴의 길, 복지국가를 넘어 복지사회로 1장 가난한 농업 국가에서 국민의 집으로 ― 스웨덴 모델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다 / 레그란드 츠카구치 도시히코 2장 양자택일과 이인삼각 ― 경제와 복지와 환경이 공존하는 길을 찾아 / 마루오 나오미 3장 정책 실험 공장 ― 지속 가능한 복지사회의 이념, 틀, 재정을 만드는 길 / 마루오 나오미 4장 포어캐스트? 백캐스트! ― 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복지사회의 길 / 오자와 도쿠타로우
2부 개인적인 것은 사회적인 것 ― 복지사회의 일과 가정 5장 평등과 균형 ― 복지사회의 일과 가정을 떠받치는 두 이념 / 시노다 다케시 6장 ‘세이브 더 패밀리’ ― 젠더와 아동의 관점에서 본 스웨덴 복지사회 / 다카하시 미에코
3부 가족의 재탄생 ― 복지사회는 지속 가능한가 7장 다시 쓰는 가족관계부 - 변화하는 파트너와 가족 관계의 사회학 / 요시즈미 교코 8장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고령화 가족과 복지사회의 미래 / 니시시타 아키토시
4부 잠정적 유토피아의 오늘 ― 아이들과 여성이 행복한 사회 9장 아이 천국은 엄마의 낙원 ― 고복지와 고부담이 만든 북유럽의 유토피아 / 미유키 포와차 10장 48 대 52 ― 숫자로 본 스웨덴 복지사회와 젠더 / 후쿠시마 도시오
옮기고 나서 / 홍일표 글쓴이 소개 옮긴이 소개
서가브라우징
나도 복지국가에서 살고 싶다 : 관객에서 참여자로, 함께 만드는 복지국가2012 / 오건호 지음 / 레디앙미디어
촛불 이후, 한국 복지국가의 길을 묻다 = The path of the Korean welfare state after the 2016 candlelight protest 2020 / 기획: 한국복지국가연구회 ; 지음: 은민수, 양재진, 유종성, 윤홍식, 정세은, 김태일, 강병익, 권순미, 김현경, 김영순, 노정호, 최유석, 최창용 / 한울아카데미 :
한국사회복지의 이해1996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저 / 한울아카데미
일본의 커뮤니티 케어 : 지역포괄케어와 지역공생사회2018 / 지음: 니키류 ; 편역: 정형선, 김도훈, 김수홍 / 북마크
빈곤의 역사, 복지의 역사2002 / 허구생 지음 / 한울
스웨덴 스타일 : 복지국가를 넘어 복지사회로, 스웨덴 모델의 미래를 보다2013 / 레그란드 츠카구치 도시히코 엮음 ; 강내영, 온나자와 나오코, 홍일표 옮김 / 이매진
스웨덴을 가다 : 복지국가 여행기2012 / 지음: 박선민 ; , / 후마니타스
스웨덴을 가다 : 복지국가 여행기2012 / 지음: 박선민 ; , / 후마니타스
복지국가 스웨덴 : 국민의 집으로 가는 길2011 / 신필균 지음 ; , / 후마니타스
복지국가 스웨덴 : 국민의 집으로 가는 길2011 / 신필균 지음 ; , / 후마니타스
경제성장과 사회보장 사이에서 : 스웨덴 사민주의, 변화의 궤적2014 / 옌뉘 안데르손 지음 ; 박형준 옮김 / 책세상
경제성장과 사회보장 사이에서 : 스웨덴 사민주의, 변화의 궤적2014 / 옌뉘 안데르손 지음 ; 박형준 옮김 / 책세상
스웨덴 패러독스 = Swedish paradox : 선진복지 대한민국을 위한 단 하나의 롤모델2011 / 유모토 켄지 ; 사토 요시히로 저 ; 박선영 옮김 / 김영사
같이 빌린 책
습관의 힘 :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2012 / 찰스 두히그 지음 ; 강주헌 옮김 / 갤리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