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 올해의 큐레이터상, 김복진미술이론상을 받은 큐레이터 겸 미술평론가 김종길의 첫 미술 평론집이다. 2000년대 이후 현장에서 기획되고 전시된 미술작품, 현장미술을 중심으로 한 ‘현대사’를 꼼꼼히 기록했다.
목차
머리말 _ 샤먼 접속, 총알 탄 미학의 게릴라 되기
제1부 행동 : 하늘은 우리의 외침으로 가득하다 하늘은 우리의 외침으로 가득하다 _ 제주 강정마을의 현장주의 예술 대지여 하늘이여 생생지리하라 _ 대추리 현장예술의 미학담론을 위한 서(序) 리얼 디스토피아 ‘멋진 신세계’는 없다! _ 용산참사의 미학적 진혼굿 <망루전>에 부치다 공장을 돌려라! 기타를 쳐라! _ 자발적 저항의 공장미술제 <부평구 갈산동 421-1 콜트콜텍전> 미술의 혁명, 혁명의 미술 _ 4월혁명 50주년 아카이브전 <4·19 푸른 혁명> 존재를 사유하는 눈 _ ‘비정규직’과 <비정규직전> 그리고 예술의 리얼리티 분단시대의 목격자는 누구인가 _전후 최초의 분단미술전 <분단미술: 눈 위에 핀 꽃>을 보다 지독한 정신, 열 개의 꽃 _ 열 개의 작품으로 본 2007년 한국미술
제2부 정신 : 예술은 최초의 행동을 가진다 ‘우리는 당신들을 떠난다’에 숨겨진 생태담론과 미의식 _ 최병수의 행동주의 실천미학과 환경미술론 광장의 미술, 혁명의 미술, 걸개그림 _ 최병수의 걸개그림론 공동체적 신명의 기억투쟁 _ 5·18 광주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전 <홍섬담-흰 빛 검은 물> 현실은 고통스럽고 그림은 재밌질 못하다! _ 배인석의 신속한 파괴, 우울한 창작론 여기 사람이 있다 _ 파견미술가 이윤엽이 외치는 소리 ‘기억의 반대편 세계에서’를 위한 아홉 개의 아포리즘 _ 이부록+안지미 예술은 최초의 행동을 가진다 _ 이부록+안지미 <스티커 프로젝트>에 바치는 비평적 서사
제3부 언어 : 기억투쟁의 미술언어는 어디에 있는가 다시, 예술의 실천적 전위를 위하여! 리얼리즘은 전경(前景)과 후경(後景)에 의해서 완성된다 생활에 터를 잡은 예술가의 실천 기억투쟁과 4·3미술의 상징 한국 ‘민족민중미술’의 당대적 과제와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