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1장 들어가는 말
1. 왜 해양사 연구인가?
2. 한민족의 해양활동
1) 동아지중해권의 발아-원(原)조선ㆍ한(韓)시대
2) 동아지중해권의 형성-삼국시대
3) 동아지중해권의 완성-남북국 시대
3. 소외된 해양역사
2장 근대 역사학의 문제점과 반도사관
1. 근대 역사학의 문제점
2. 반도사관이란, 문제점
1) 반도사관의 생성
2) 반도사관의 폐해
3장 해양사 또는 해륙사
1. 해양사 연구 방법론과 요소-해륙사관 중심으로
1) 사관의 이해
2) 인간의 이해
3) 시간의 이해
4) 공간의 이해
2. 해륙사관
1) 터와 다핵이론(field & muti core-theory)
2) 해륙사관의 성립요건
4장 해륙사관으로 본 동아시아 및 한민족의 역사상
1. 汎아시아 문화
2. 동아시아- '동방문명권' 설정
3. 동아지중해(東亞地中海) 모델
1) 설정 배경
2) 모델의 유효성
5장 해양문화의 특성과 구조 - 하부구조의 문제
1. 동아시아의 해양환경
1) 육지환경의 이해
2) 해양환경의 이해
2. 해양문화의 체계적 특성
3. 수도 및 도시의 해륙적 성격
1) 도시 생성의 조건
2) 항구도시의 생성과 역할
4. 해양방어체제
1) 분류
2) 방어체제의 기능
3) 방어체제의 종류
6장 동아지중해의 국제항로
1. 항로의 체계와 특성
1) 항해술의 메커니즘
2) 조선술과 항로
3) 항로 설정의 메커니즘
2. 동아지중해의 국제항로
1) 황해권
2) 남해권
3) 동해권(타타르해 포함)
4) 일본의 국제항로
3. 표류의 문제
1) 표류의 성격
2) 표류의 역사적인 역할
7장 맺음말
해륙사관이란 무엇인가?
※ 본문 작성에 활용한 저자의 연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