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냉전 체제와 자본의 문화 = (A) cold war regime and capitalist culture
발행연도 - 2013 / 요시미 슌야 외 지음 ; 허보윤 ; 김연숙 ; 전미경 ; 한윤아 ; 이현희 ; 강현정 ; 남효진 옮김 / 소명출판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4724
-
ISBN
9788956268538
-
형태
335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일본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동양사
>
일본사
책소개
'근대 일본의 문화사' 9권. 1955년을 기점으로 일본의 전후를 주목한다. 일본의 ‘전후’는 패전과 점령이라는 전쟁 직후의 ‘전후’와 전쟁 이후 재편되는 일본을 주목하는 ‘전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목차
편집자 서문
역자 서문
총설
냉전 체제와 ‘미국’의 소비 - 대중문화의 ‘전후’ 지정학
1. 패전 후 천황제와 아메리카니즘
2. 일본 속의 ‘미국’ - 전전戰前 속의 ‘전후戰後’
3. 금지하는 미국 - 점령군과 검열 제도
4. 유혹하는 미국- 점령군과 도쿄의 도시공간
5. 재구축된 ‘일본’ - 미디어가 된 ‘미국’
6. 분열하는 미국 - ‘욕망’과 ‘망각’의 사이
7. 마치며
제1부 ‘전후’라는 담론 공간
전후 일본사상사에 나타난 ‘민중’과 ‘대중’
1. 시작하며
2. 전후 계몽과 ‘민중’상
3. ‘상민常民’과 생활세계
4. 사상의 원점을 찾아서
5. ‘시민’과 ‘대중’
6. 주변성과 세계상
7. 마치며
전후 ‘일본’의 재구축 - 천황제·일본문화론·보수주의
1. 제국의 천황에서 국민의 천황으로
2. 전후 보수주의와 그 한계
3. 포스트 전후와 아시아
제2부 대중문화 속 일본의 ‘전후’
‘이등병’을 표상하다 - 고도성장기 초기의 대중문화 속 전쟁과 전후
1. 시작하며
2. ‘이등병 붐’을 구축하다 - ‘노스탤지어’의 메타 담론
3. ‘익살’을 소집하다 - ‘군대 희극’ 영화의 탄생
4. 패군 병사를 받아들이다 - 영화의 엉터리 논리
5. 전쟁의 기억을 상품화하다
애매한 일본의 ‘흑인’ - 대중음악과 인종적 복화술
1.시작하며
2. 블루스 - 블랙은 저항의 색
3. 샤네루즈 - 흑인 분장과 노동자계급
4. 랩 - ‘리스펙트respect’를 둘러싸고
5. 마치며
벌레라는 주제로 본 전후 일본의 하위문화
1.시작하며
2. 사건으로 본 1995년
3. ‘동물’에서 ‘벌레’로
4. 벌레와 소녀 - 또 하나의 ‘소년·소녀론’
5. 로봇과 벌레
6. 변태와 기생의 문화정치학
7. 마치며
제3부 냉전, 기지, 경계를 넘는 문화
경계를 넘는 오키나와 - 아메리카니즘과 문화 변용
1. 시작하며
2. 생존생활
3. 미군기지와 대對 오키나와 주민 문화 정책의 변경
4. 생활 개선과 미국의 영향
5. 가전제품의 침투
6. 미군기지와 생활의 모순
7. 마치며
저자 주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