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의 개별적인 전공분야에서 국한되어 논의되어오던 <사상계>의 연구를 정치,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살폈을 뿐 아니라 현실진단 및 정책 제시에서 그 대안과 전망에 이르기까지 망라하여 더욱 풍성한 내용을 이룬다.
목차
제1부 해방과 전후, 사회지정학의 변동과 재편 원자탄을 둘러싼 한반도의 변화되는 세계상과 재지역화의 균열들 전‘후’의 양의성과 한반도 해방(자유)화의 조건 / 공임순 해방기 공간 상상력의 전이와 ‘태평양’의 문화정치학 / 장세진 1950년대 남한의 ‘아시아 내셔널리즘’론 동남아시아를 정위(定位)하기 / 김예림 번역된 냉전, 그리고 혁명 사르트르, 마르크시즘, 실존과 혁명 / 박지영 ‘청년 세대’의 4월혁명과 저항 의례의 문화정치학 / 김미란
제2부 사상계 담론 지형과 문화정치의 역학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 이상록 『사상계』 동양 담론 분석 / 김주현 1950년대 후반∼1960년대 초반 ‘사상계 경제팀’의 개발 담론 / 정진아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인식 1950년대 농촌담론을 중심으로 / 김명임 『사상계』와 대중문화 담론 지식인ㆍ대중ㆍ영화를 중심으로 / 한영현 ‘사회’의 문학ㆍ반행동주의ㆍ아카데미즘 1950년대 『사상계』의 문학성 인식과 최재서의 전략 / 정영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