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각 시대에 활동했던 예술가들의 작품과 가치관을 살펴보며 이들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야기하고, 다양한 분야에 녹아 있는 생활 속 문화와 그 역할을 진단하고 있다. 예술이 과연 어떠한 역할을 해 왔는지, 또한 지금 어떻게 발전해 가고 있는지를 말하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이 책의 틀
Part 1 문화예술 활동의 공진화
1장 탄생과 사회적 순환
1. 문화접착시대
2. 문화예술의 탄생과 순환
3. 사회 목적 활동
4. 공진화
2장 가치의 사회적 실현
1. 가치증식의 시대
2. 고유가치
3. 소통가치
4. 이미지가치
5. 부가가치
6. 인본가치
3장 실험과 사회적 변신
1. 소용돌이 시대
2. 경계 넘는 실험예술
3. 기술지식 용해와 융합예술
4. 배려와 동반예술
Part 2 지식가치의 확산과 융합융화
4장 창조성의 사회 확산
1. 창 > 조 시대
2. 창조력 이끌어내기
3. 창조성의 사회 확산
4. 개인 창의력, 집단 창의력 키우기
5장 융합융화의 미학
1. 모듬비빔시대
2. 융합빅뱅의 진화
3. 융합융화의 미학
4. 융합융화의 생태계
6장 콘텐츠의 사회학
1. 콘텐츠 제왕의 시대
2. 메인 스트림
3. 콘텐츠의 가치 쌓기
4. 사회적 재구성
5. 미래 콘텐츠 인력
Part 3 사회문화자본의 재구성
7장 스마트 지식의 문화생태계
1. 스마트 시대
2. 스마트 지식의 문화 확산
3. 실험과 재구성
8장 문화영토의 재구성
1. 노노드(Know Node) 시대
2. 글로벌 교류
3. 다인종 다문화
4. 문화영토의 확산, 교류
9장 생산하는 소비자
1. 문화폭발시대
2. 문화소비 트렌드
3. 창작을 이끄는 소비자
4. 문화소비와 생산의 공진화
Part 4 모두를 위한 모두의 문화사회
10장 생활문화복지
1. 감성생활시대
2. 문화생활의 자기전개력
3. 감성사회 적응학습
4. 생활문화복지
11장 사회 돌봄 예술
1. 절대행복의 시대
2. 생애주기 맞춤 문화 돌봄
3. 사회 돌봄 예술
4. 사회 회복 예술
12장 모두를 위한 모두의 문화예술
1. 네트워크 자본의 시대
2. 공공 시스템
3. 민간 문화울력
4. 시민 네트워크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