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강인철 교수의 여덟 번째 저서로, 저자의 '한국의 종교정치' 5부작 가운데 두 번째로 발표되는 저작이기도 하다. 탈규제와 모순되는 추세 가운데 민주화 이후 등장한, 혹은 과거에 비해 그 중요성이 크게 증가한 종교규제 양식들에 일차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정부보조금, 세금, 그리고 종교
제1장 정부보조금과 종교: 연성통제로의 전환
1. 보조금의 종교정치
2. 보조금의 규모와 분배
3. 소결
제2장 불교와 ‘보조금의 종교정치’
1. 문화재관람료
2. 문화재 관리보수비: 국립공원관리공단
3. 문화재 보수정비 국고보조사업: 문화재청
4. 문화체육관광부 종무실의 불교 관련 보조금들
5. 왜 유독 불교에서 ‘보조금의 종교정치’가 활발한가?
제3장 보조금과 통제: 다른 종교들
1. 유교
2. 그리스도교
3. 천도교
4. 원불교와 민족종교
5. 범종교계의 종교연합 행사에 대한 지원
6. 소결
제4장 “구원의 묘약”: 정부보조금과 종교 사회복지
1. 종교 사회복지에 대한 정부보조금 증가
2. 1990년대 이후 정부보조금의 확충과 다변화
3. 위기의 종교 사회복지, 그 구원자로 나선 국가
4. 보조금의 종교정치: ‘경기여자기술학원 방화사건’을 중심으로
5. 소결
제5장 종립학교와 보조금: 준(準)공립화와 종교교육 갈등
1. 국가와 종교교육: 미국과 독일 사례
2. 한국의 종립학교와 국가
3. 많은 지원, 강한 통제: 종립 중등학교
4. 적은 지원, 약한 통제: 종립 대학
5. 소결
제6장 세금분쟁: 개신교와 불교
1. 세금분쟁 발생의 거시구조적 맥락
2. 왜 개신교와 불교인가?: 세금분쟁의 미시구조적 맥락
3. 세금분쟁의 종교정치적 함의
4. 요약 및 소결
제2부 개발과 종교
제7장 토건사회와 ‘개발과의 전쟁’
1. 토건국가와 난개발
2. 개발 분쟁: 주체, 유형, 쟁점
3. 불교
4. 천주교
5. 다른 종교들: 개신교, 원불교, 천부교
6. 소결
제8장 신도시, 재개발, 종교경관(1): 여의도에서 목동까지
1. 서울의 도심 재개발과 불량촌 철거
2. 주택문제와 ‘도시 내 신도시’ 개발(1): 여의도
3. 주택문제와 ‘도시 내 신도시’ 개발(2): 강남
4. 경제개발과 신도시 건설, 공영재개발: ‘종교부지’의 첫 등장
5. 소결
제9장 신도시, 재개발, 종교경관(2): 수도권신도시에서 뉴타운까지
1. 수도권신도시, 뉴타운, 보금자리주택: 종교부지 정책의 제도화
2. 1단계: 이해관계 분화, 퇴출, 공동체 해체
3. 2단계: 경쟁과 재편
4. 3단계: ‘개미들의 쇄도’와 이중종교시장 형성
5. 소결
제10장 개발 주체로서의 종교(1): 불법ㆍ편법 개발로 인한 종교-국가 갈등
1.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
2. 개발로 인한 문화재 경관 혹은 가치 훼손
제11장 개발 주체로서의 종교(2): 조장된 난개발, 고조되는 갈등
1. 종교적 난개발을 조장하는 국가(1): 권력형 개발
2. 종교적 난개발을 조장하는 국가(2): 전통사찰보존법, 공원 및 건축 관련법 개정
3. 개발로 인한 종교-종교 갈등
4. 개발로 인한 종교-주민의 국지적 갈등
5. 소결
제3부 해외선교, 파병, 양심적 병역거부
제12장 선교와 파병의 이중주(1): ‘선교대국’으로의 도약, 증가하는 위험
1. 개신교의 해외선교
2. 천주교의 해외선교
3. 불교의 국제포교: 조계종, 진각종, 천태종
4. 원불교의 해외교화, 증산도의 해외도장 개설
5. 소결
제13장 선교와 파병의 이중주(2): ‘위험의 상승작용’과 교회-국가 갈등
1. 해외파병의 재등장과 확대
2. 점점 위험해지는 한국인들
3. 왜 유독 개신교가 문제인가?
4. 선교의 정치성, 갈수록 미묘해지는 국가-종교 관계
5. 소결
제14장 전쟁과 평화, 그리고 종교: 양심적 병역거부와 국가
1. 2001년의 거대한 전환
2. 희망과 절망의 교차: 2002년 여름 이후
3. 주류 종교들의 반응
4. 소결
덧붙이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