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젝에 따르면 기독교는 신 자신이 곤경에 처했다고 말하는 종교다. 이는 기독교에 대한 이단적 독해가 아니라, 기독교가 전하려는 메시지가 바로 신 자신의 곤경이라는 뜻이다. 기독교의 진정한 계시는 신의 무능함, 신의 비존재를 계시하는 것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생존하기 위해 삶을 버릴 것인가?
서설: 聖토요일 혹은 부활의 일요일 너무도 다른 논쟁을 무대에 올리며 / 크레스턴 데이비스
1. 유물론적 신학을 향하여
2.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학: 헤겔 비틀기
3. 신학: 정통이냐 이단이냐?
결론: 성 토요일(지젝)이냐, 일요일의 부활이냐(밀뱅크)?
세 마디가 무섭다: 헤겔식 기독교 독해로의 초대 / 슬라보예 지젝
그리스도를 불편해 하는 정교회
… 그리고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어둡고 끔찍한 문제… ”
욥에서 그리스도로
이중적 케노시스
바그너와 함께 그리스도를
그리스도의 괴물성
유물론적 신학을 향하여
이중의 영광, 또는 패러독스 대 변증법: 슬라보예 지젝에게 다소 반대하며 / 존 밀뱅크
1. 언어에 홀린 동물
2. 가톨릭 메타내러티브 대 개신교 메타내러티브
3. 일의성과 차이, 변증법
4. 패러독스: 안개 은유
5. 기독교와 패러독스, 변증법
6. 역사철학에 관하여
변증법의 확실성 대 패러독스의 모호한 변덕 / 슬라보예 지젝
유물론과 신학, 정치: 논쟁을 위한 전제들
신-죽음의 신학에서 후기 세속적 사상으로, 다시 신-죽음의 신학으로
법과 사랑, 충동
죽은 새가 필요하다
부록: 밀뱅크와 급진 정통주의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