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그린비출판사 [철학의 정원] 시리즈 열두 번째 권. 이 책은 벤야민, 아도르노에서 보드리야르, 비릴리오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매체현상을 심도 있게 연구한 매체철학자 10인의 사유를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1부 아날로그 매체, 대중문화를 열다
1_들어가는 말
2_예술의 기술적 재생산과 아우라의 몰락 발터 벤야민
들어가며
아우라란 무엇인가?
새로운 예술 형식의 등장과 아우라의 몰락
사진: 이미지에 대한 민주적 접근 가능성의 확대
영화: 이미지 수용방식의 변화
광고: 시각적 촉각성의 체험
나가며
3_대중매체와 문화산업 테오도어 아도르노
들어가며
사회비판이론으로서의 매체이론
‘관리되는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예술
‘관리되는 사회’에 순응을 강요하는 문화산업
문화산업론이 가지는 의의 및 한계
나가며
4_텔레비전 시대의 실재와 가상의 문제 귄터 안더스
들어가며
프로메테우스적인 부끄러움
팬텀이 지배하는 텔레비전
매트릭스가 된 세계와 그 세계 안에서의 대중
안더스 이후 텔레비전에 대한 논의
나가며
5_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과 매체에 의한 인간의 확장 마셜 맥루언
들어가며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
매체 형식과 매체 내용
매체에 대한 인식론적 분류: 뜨거운 매체와 차가운 매체
매체와 감각
나가며
6_기록매체와 정신분석 프리드리히 키틀러
들어가며
1800년경의 기록체계: 문자를 중심으로
1900년경의 기록체계 1: 축음기와 실재계
1900년경의 기록체계 2: 영화와 상상계
1900년경의 기록체계 3: 타자기와 상징계
나가며
2부 디지털 매체, 새로운 존재방식을 열다
1_들어가는 말
2_시뮬라크르, 하이퍼리얼 그리고 실재 장 보드리야르
들어가며
시뮬라크르의 세계
하이퍼리얼과 실재의 가상성
보드리야르 이후 실재와 가상에 대한 논의들
나가며
3_탈역사 시대의 기술적 이미지 빌렘 플루서
들어가며
매체로서의 문자와 이미지에 따른 시대 구분
사진과 사진기 그리고 사진 찍기
의미복합체로서의 이미지에 대한 재평가
디지털 가상 구하기
나가며
4_속도에 의한 공간의 소멸과 편협된 시각의 강화 폴 비릴리오
들어가며
속도에 의한 공간의 소멸
매체에 의한 공간의 소멸
편협된 시각체계의 강화
지각하는 신체의 해체와 전자적 판옵티콘의 등장
나가며
5_디지털 매체의 확산과 새로운 예술의 의미 노르베르트 볼츠
들어가며
문자문화와의 결별
새로운 미학적 패러다임으로서의 감성학
디지털 매체 시대의 예술의 새로운 특징과 수용방식의 변화
새로운 예술: 예술의 종말 또는 확장
나가며
6_매체에 의한 시공간의 재편과 매체공간 괴츠 그로스클라우스
들어가며
매체에 의한 공간의 재편
매체에 의한 시간의 재편
디지털 매체 공간: 사이버스페이스
나가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