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_ 스무 살, 10가지 프레임에 정의의 메스를 들다
frame 1. 알리바이: 두려움을 가려주는 ‘가짜’ 정의를 발견하다
타블로, 마리 앙투아네트 만들기
인터넷 전장에서의 사회심리
frame 2. 폭력: 방망이로 때리고 미사일로 부수다
수표 깡패 최철원
연평도 포격의 스펙터클
frame 3. 거짓말: 불공정한 기반 위의 공정사회론
신화는 없다
허각
frame 4. 콤플렉스: 권력자의 통 큰 콜플렉스 과시
나 G20 개최하는 대통령이야
이명박 형 이상득
교복 입는 대학생을 아시나요
frame 5. 정치: 청춘이 정치에 더 몰입할 자유
광장을 위해서는 정당이 필요하다
안상수가 알려준 박근혜의 약점
frame 6. 달인: 돈이 없는 달인은 승자가 아니다
해태 타이거즈를 추억함
개그맨 김병만
frame 7. 버림: 누가 누구를 버릴 수 있단 말인가
낙오자 김길태
제주 사람은 어떻게 서울 사람이 되었나
추성훈은 여러 명이다
frame 8. 민족: 민족보다 백배는 소중한 것
민족주의는 촌스럽다
민족의 역사에서 개인의 역사로
한국사 서술의 주어를 바꾸자
farame 9. 아시아: 보다 평등한 아시아 공동체 상상하기
마이너리티 국가 만들기
리오리엔트는 정의로운가
frame 10. 세속 시대에 왜 철인이 아이콘인가
철인 박근혜: 박근혜의 문화적 상징
나는 욕망공화국을 보고 싶다
epilogue_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