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시아 개항도시의 형성과 네트워크 = (The) formation and network of the open port city in East Asia
발행연도 - 2012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 글로벌콘텐츠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10148
-
ISBN
9788993908527
-
형태
375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동양사
>
동양사 일반
책소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가 ‘동아시아 상생과 소통의 한국학’이라는 어젠다로 진행하고 있는 인문한국(Humanities Korea) 사업의 일환으로 편찬되었다. 동아시아 개항도시의 형성과정을 비교하고 소통의 네트워크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목차
간행사
서문
1부 동아시아 개항도시의 형성과 발전
근대 중국의 개항도시와 동아시아 近代中國的開港城市與東亞 / 우숭디(吳松弟)ㆍ왕저(王哲)
청말 대만(臺灣) 개항(開港)(1860~1895)이 사회 발전에 미친 영향 淸季臺灣開港(1860~1895)對社會發展之影響 : 경제, 정치, 종교 및 문화 방면에 대한 분석 / 린원카이(林文凱)
근대 중국 화베이(華北) 지역 항구 도시의 발전 양상 近代華北港口城市的發展 / 판루우쓴(樊如森)
20세기 초 개항도시 식민주의와 민족주의의 역할 20世紀初開港城市殖民主義和民族主義的作用力 : 톈진상품진열소(고공장-권업회장) 건설을 중심으로 / 쉬쑤빈(徐蘇斌)
19세기 말엽 동아시아의 서양인 거류 현황 분석 : D. W. 스미스의 저술 내용을 중심으로 / 윤승준(尹承駿)
2부 한국 개항도시의 형성과 네트워크
한국의 ‘수호통상(修好通商)’ 확대와 개항도시의 성격 / 이영호(李榮昊)
개항기(開港期) 부산항(釜山港)의 조선인과 일본인의 관계 형성 / 차철욱(車喆旭)ㆍ양흥숙(梁興淑)
개항 이후 부산의 일본거류지 사회와 일본인 자치기구의 활동 / 김승(金勝)
개항 초기 목포항(木浦港)의 일본인과 해상(海上) 네트워크 / 최성환(崔誠桓)
개항 이후 인천의 화교(華僑)사회와 동아시아 네트워크 : 산둥반도(山東半島)를 중심으로 / 이옥련(李玉蓮)
일제하(日帝下) 조선 개항장 도시에서 화교의 정주화(定住化) 양상과 연망(緣網)의 변동 : 인천, 신의주, 부산을 중심으로 / 김태웅(金泰雄)
필자소개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0 |
30대 | 1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