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전후 중일 정치경제관계의 발전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중일 국교정상화의 정치과정
Ⅰ. 서론
Ⅱ. 전후 일본의 대중외교 구도
Ⅲ. 사토내각기의 국교정상화의 정치과정
Ⅳ. 다나카 내각기의 국교정상화의 정치과정
Ⅴ. 결론
제2장 중일 ‘72년 체제’의 성립과 발전
Ⅰ. 서론
Ⅱ. 중일 국교정상화와 평화우호조약
Ⅲ. 중일 정부간 경협과 ‘데즈쿠리외교
Ⅳ. 미일동맹 재정의와 ‘장쩌민 방일
Ⅴ. 결론
제3장 일본의 제3차 대중국 엔차관의 동결해제결정
Ⅰ. 서론
Ⅱ. 천안문사건까지의 대중 엔차관협력
Ⅲ. 천안문사건과 신규 엔차관의 동결
Ⅳ. 가이후내각의 점진적 균형외교
Ⅴ. 결론
제4장 고이즈미 내각기의 중일 ‘72년 체제’의 갈등과 전환
Ⅰ. 서론
Ⅱ. 중일 ‘72년 체제’의 협력과 갈등
Ⅲ. 중일 ‘72년 체제’의 전환
Ⅳ. 중일 갈등 : 역사인식, 엔차관, 영토자원
Ⅴ. 결론
제2부 중일관계의 쟁점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제5장 일본과 중국 간의 동중국해 해양영토분쟁
Ⅰ. 서론
Ⅱ. 동중국해 영토분쟁의 역사성과 쟁점
Ⅲ. 90년대 이후의 동중국해 해양갈등
Ⅳ. 고이즈미 내각기 해양영토분쟁의 특성
Ⅴ. 결론
제6장 일본의 대중국 정부간 경제협력의 정책결정
Ⅰ. 서론
Ⅱ. ‘정치원조론’과 ‘내외압조정적 정치결정’
Ⅲ. 80년대까지의 대중경협의 원조내용과 정책결정
Ⅳ. 탈냉전기의 대중경협의 정책결정과 원조내용
Ⅴ. 결론 : ‘정치원조’의 구조변용
제7장 하시모토 내각 이후의 미일동맹의 강화와 중일관계
Ⅰ. 서론
Ⅱ. 90년대 후반 미일동맹의 재정의와 강화
Ⅲ. 반테러 전쟁에의 협력과 자위대 해외파병
Ⅳ. 후쿠다 정권의 등장과 동아시아 외교
Ⅴ. 결론
제8장 일본과 중국 사이의 한국외교
Ⅰ. 서론
Ⅱ. 21세기 중일관계의 갈등
Ⅲ. 일본외교와 동아시아
Ⅳ. 한중일관계의 질적 전환
Ⅴ. 한국외교의 방향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