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표 차례
┃그림 차례
제Ⅰ장 서론
1. 연구 목적과 연구사 검토
2. 문제제기와 논의방향
제Ⅱ장 『용비어천가』 제작의 주요 배경과 기반
1. 왕위계승의 정통성 확립의지
1) 왕위계승의 상황
2) 정통성 확립의 의지와 『용비어천가』의 제작 목적
2. 『태조실록』의 개수 작업과 사료 조사
1) 『태조실록』개수의 배경
2) 『용비어천가』제작과의 관련상
3. 선행 악장의 활용과 변용
1) 사조ㆍ태조 관련 사적
(1) <몽금척>ㆍ<수보록>
(2) <납씨곡>ㆍ<궁수분곡>ㆍ<정동방곡>
(3) <문덕곡>
(4) 기타
2) 태종 관련 사적
(1) <근천정>ㆍ<수명명>
(2) <천권동수지곡>ㆍ<연형제곡> 등
(3) 기타
4. 중국 역대사에 대한 이해의 심화
1) 경연의 활성화와 사서 강독
2) 편람서의 편찬
(1) 『치평요람』의 편찬
(2) 『역대병요』의 편찬
제Ⅲ장 세종조의 용비어천가 활용과 논의
1. 악곡의 정재의 제정
1) <여민락>ㆍ<치화평>ㆍ<취풍형> 악곡의 제정
2) <봉래의> 정재의 제정
2. 서책의 간행과 보수
1) 서책 간행의 과정과 판본 계열
2) 초간본의 오류와 보수의 정황
3) 보수된 부분의 추정
4) 보수의 배경과 의도
3. <보태평>ㆍ<정대업>ㆍ<발상>의 제작
1) 제작경위
2) 특징과 지향
(1) 태종에 대한 강조
(2) 무인적 영웅형상의 부상
3) <용비어천가>와의 변별 양상
4. <월인천강지곡>의 제작
1) <용비어천가>와의 관계
2) 활용과 변용의 계기
제Ⅳ장 용비어천가의 수용과 변전 양상
1. 조선초기
1) 해석과 평가의 궤적
(1) 전거의 활용과 논의
(2) 종묘제례악장의 확립
2) 후속 전적의 제작
(1) 「용비어천도」
3) 연행의 추이
(1) 북관에서의 연행
2. 조선중기
1) 해석과 평가의 궤적
(1) 전거의 활용과 논의
(2) 전란 체험과 『용비어천가』의 재발견
(3) 정시 시제로의 출제
2) 중간의 추진
(1) 만력본의 제작
(2) 순치본의 제작
3) 후속 전적의 제작
(1) 『풍패관개찬약본』
4) 연행의 추이
(1) <봉래의> 정재의 연행 양상
3. 조선후기
1) 해석과 평가의 궤적
(1) 영ㆍ정조대의 왕실 현창 사업과 『용비어천가』중시 기조
(2) 고종대의 『용비어천가』논의
2) 중간의 추진
(1) 건륭본의 제작
3) 후속 전적의 제작
(1) 『흥왕조승』
4) 연행의 추이
(1) <봉래의> 정재의 전면적 개편과 활용
제Ⅴ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