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정다운 벗과 음풍농월하며 세월아 네월아 한껏 여유를 부리던 양반들과는 달리, 팍팍한 일상 속에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열심히 살다간 조선 후기 평범한 인간 군상들의 노래, 사설시조에 관한 연구서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들어가기
목차
1부 논의의 중심
제1장 사설시조의 웃음 해명을 위한 단서
1. 문제제기
2. 방법론적 고민
3. 웃음 논의의 해석적 기제
1) 웃음의 개념과 문예 미학적 배경
2) 미적 범주와 한국 문학의 웃음 체계
3) 문학과 철학의 행복한 결합-인물, 구조, 언어
제2장 사설시조의 웃음, 그 생성 원리와 유형
1. 웃음의 생성 원리
2. 원리에 따른 웃음 유형
1) 기대-탈 기대 구조 : 놀람형
① 응결성-응집성의 조화 : 메타포형
② 응결성-응집성의 부조화 : 아이러니형
ⓐ 불가능한 <상황>의 파편화된 제시
ⓑ 상반된 <상황>의 대조적 제시
ⓒ 오인 구조적 <상황>의 희극적 제시
2) 기계적 반복구조 : 꼭두각시형
① 구심적 수렴 : 동일반복형
ⓐ 낭만적 연인
ⓑ 허풍선이·현학자·순진한 주체
ⓒ 기형적 형태, 행동 및 상황
② 원심적 확산 : 변화반복형
ⓐ 패러디하는 어릿광대
ⓑ 기형적 형태, 행동 및 상황
ⓒ 특정 사물·일상성의 기계적 나열
3) 작용-반작용 구조 : 메아리형
① s-s'의 대립소통 : 쌍방전달형
② s-s'의 화학소통 : 일방전달형
제3장 사설시조의 담론과 웃음
1. 미학과 담론
2. 담론과 웃음의 관계
1) 놀람형과 담론
2) 꼭두각시형과 담론
3) 메아리형과 담론
제4장 사설시조의 웃음, 그 본질과 미학
1. 유머와 넌센스
2. 단성성과 리얼리즘
3. 다성성과 뒤섞임
제5장 매듭짓기
2부 논의의 주변
제1장 시조를 통해 본 한국 시가의 웃음 유형과 미학
1. 들어가기
2. 웃음 유형적 구조적 특질
2.1 수평적 웃음
2.2 수평·수직 하향적 웃음의 공존
3. 구조에 함의된 한국 시가의 웃음 미학
3.1 여유와 정태적 세계관 : 동일성 미학
3.2 카니발과 동태적 세계관 : 축제의 미학
4. 나오기
제2장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과 그 미학적 의미
1. 들어가기
2. 논의를 위한 이해의 틀:희비극성과 텍스트성
3.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
3.1 희극적 인물에 의한 동화와 이화
3.2 언어 기호에 의한 상황의 동시성 : 은유와 환유
3.3 극적 구조에 의한 긴장과 이완
4. 희비극성에 함의된 미학적 변주
4.1 낙관주의적 세계관과 열림의 미학
4.2 분리된 시선과 소통의 미학
5. 남은 과제들
제3장 사설시조의 일상성 담론과 미학, 그리고 근대
1. 문제제기-일상성과 근대성
2. 사설시조에 드러난 일상성 담론의 몇 국면
2.1 환상성 속 일상의 기표와 반세계
2.2 현실성 속 현실, 주변부 담론의 복원
2.3 역사 속 일상, 일상 속 역사
3. 일상성 담론의 근대적 함의-시적 화자의 시선과 희비극성
3.1 희비극성과 유희를 통한 일탈
3.2 시적 화자의 시선과 거리화
4. 결론
제4장 시조의 세계관적 구조와 그 시학적 의미
1. 문제제기
2. 시조의 세계관적 구조
2.1 융합과 해체
2.2 동일화와 거리화
3. 구조가 함의한 시학적 의미
4. 요약 및 남은 과제
제5장 고려속요의 웃음, 그 양상과 미학-사설시조와의 비교를 통해-
1. 들어가는 말
2. 고려속요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
2.1 인물의 파격과 일탈
① 등장인물의 희화화-<쌍화점>, <만전춘별사>, <동동>
② 인물에 의한 대상의 희화화-<처용가>
2.2 언어 표현의 해체와 전복 : 환유의 원리
3. 웃음의 미학적 함의와 그 시가사적 전승
3.1 ‘인물’의 성격 변화와 담론성의 변모 : 서정성과 서사성의 거리
3.2 비극적 삶에 대한 낙관주의적 인식
4. 마무리
3부 작품론
參考事項
사설시조 모음
참고문헌
부록 색인
1ㆍ2부 색인
3부 색인
작품색인:中章
작품색인:終章
作家索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