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도입
1장_ 모래놀이치료와 미술치료 세팅
기초와 형상
토대의 형성과 형상의 분류
기초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모래놀이치료와 미술치료에서 저자의 개인적인 경험
개요
제2부: 모래놀이의 형상에 관한 회고
2장_ 모래놀이치료의 역사와 해설
역사
모래형상의 창조에 영향을 주는 모래놀이의 관점
논의
제3부: 미술치료 세팅과 융의 모래놀이
3장_ 매체를 통한 자기표현의 미술치료적 접근
4장_ 미술치료사라는 직업
5장_ 모래놀이에 관련된 예술제작의 형상: 부조, 콜라주, 아상블라주, 오브제 트루베
6장_ 미술치료 세팅과 매체
세팅
미술제작을 위한 재료의 세 가지 분류
매체의 분류를 위한 기준
7장_ 미술치료 매체의 분류
비조직적 형성이 가능한 미술치료 매체
형성되어 동일시할 수 있는 미술치료 매체
8장_ 미술치료 세팅에서의 모래놀이
모래놀이: 방법, 매체 그리고 움직임
모래놀이, 미술과 진흙
흔적 만들기
9장_ 모래놀이의 매체
서문
모래와 물
모래놀이 오브제
모래놀이 컬렉션에 있는 오브제
10장_ 모래놀이 재료의 분류
모래와 물
모래놀이 오브제가 만들어지는 재료
11장_ 색채
색의 존재
푸른 안료: 코팔트블루와 셀룰리안블루
생명 체계에서 필수요소로서의 색
모래놀이와 미술치료를 위한 색 자료
제4부: 미술치료와 모래놀이에서의 형상의 창조
12장_ 시각적인 표현
그림 메시지: 이미지의 마음, 몸 그리고 정신
무한에 대한 네 가지 메신저
미술과 모래놀이에서의 형상, 차원 그리고 환영
은유로서 모래상자 안의 공간과 형상
모래상자의 맵
개별적이고 총체적인 과정과 형성
개인의 심상과 집단의 심상
제5부: 모래와 물을 이용한 모래놀이의 주요 방법
13장_ 모래 표면: 주조하기, 모으기, 그리기, 찍기
표면
돌출된 표면 형태: 주조물과 언덕
표시된 표면: 선 그리고, 자국 남기기
주조물과 언덕에 대한 실례
선 그리기와 찍기에 대한 실례
토의
14장_ 모래 표면을 꿰뚫는 것: 구멍, 굴 파기, 매장, 발굴
관통
모래상자 표면의 관통
구멍, 터널, 매장, 그리고 상승에 대한 실례
토의
15장_ 물의 쓰임: 떨어짐과 넘쳐흐름
유동성, 흐름 그리고 움직임
물의 사용에 대한 실례
토의
16장_ 촉각적 의사소통과 모래를 만지지 않는 것
모래를 만지지 않는 실례
토의
제6부: 모래놀이 과정의 소개
17장_ Wanda: 집단성 전복
Wanda
Wanda, 그녀의 가족 그리고 키부츠
애도 의식
치료
주요 주제
모래놀이: A단계
18장_ Wanda: 중앙에 물 가져오기
모래놀이: B단계
19장_ Wanda: 풍요와 신의 보호
도입
요약
결론
Weinrib의 단계에 따른 Wanda의 모래놀이 과정
미술작품 만들기 또는 모래놀이에서 Wanda의 선택
20장_ 결론
도판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