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
제1장 서양 정치사상의 수용과 입헌군주제의 모색
1. 서양의 정치제도를 처음 접하다
2. 개화파, 제한군주제의 길을 모색하다
3. 독립협회, 의회개설운동을 전개하다
4. 입헌군주제 운동, 시기를 놓치다
제2장 민주공화제의 수용과 임시정부의 수립
1. 국망 전후, 공화제 임시정부 구상이 싹트다
2. 신해혁명과 함께 공화주의의 파도가 밀려오다
3. 3ㆍ1운동으로 공화제 임시정부를 선언하다
4. 민주공화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세우다
제3장 독립운동 진영의 통일 모색과 건국 준비
1. 국외 독립운동 진영, 정당을 조직하기 시작하다
2. 대독립당(민족혁명당)을 결성하다
3. 민족주의 좌우파 정당, 통일을 모색하다
4. 민족주의 좌우파, 임정 깃발 아래 결집하다
5. 임시정부, 건국의 밑그림을 그리다
6. 사회주의 진영, 인민공화국 등을 모색하다
제4장 해방과 통일정부 수립의 좌절
1. 해방과 함께 건준·인민공화국이 등장하다
2. 신탁통치 문제로 좌우 세력이 대립하다
3. 좌우파, 서로 다른 헌법을 구상하다
4. 분단정부 수립의 길로 들어서다
제5장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1. 제헌헌법, 임시정부 계승을 표방하다
2. 제헌헌법, ‘자유롭고 균등한 사회’를 지향하다
맺음말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