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카제 특공대'에서 '우주전함 야마토'까지 : 전후 일본의 전쟁영화와 전쟁 인식 = From 'special attack force KamiKaze' to 'space battleship Yamato' : images and perspectives on war in postwar Japan
발행연도 - 2013 / 박진한 ; 강태웅 ; 한정선 ; 이택광 ; 신하경 지음 / 소명출판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부록
부록없음
등록번호
KM0000298714
ISBN
9788956268132
형태
223 p. 24 cm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영화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영화
>
영화이론/역사
책소개
'일본영상연구회' 젊은 연구자 5명의 공동저작. 전쟁영상물, 즉 전쟁영화나 애니메이션을 주된 소재로, 공식화.제도화된 역사서술의 저변에 담겨있는 일본사회의 전쟁 인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목차
책머리 제1장 특공영화와 전후 일본의 ‘특공’ 인식 / 박진한 <아! 결전항공대>(1974)와 <남자들의 야마토>(2005)에 나타난 특공의 미학 제2장 원폭영화와 일본의 ‘피폭 내셔널리즘’ / 강태웅 다시 읽는 『저녁뜸의 거리, 벚꽃의 나라』(2004) 제3장 곡쟁이, 전후 반전영화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 / 한정선 전후 일본 ‘반전’영화에 나타난 여성 제4장 특공영화의 ‘반전’의식과 기억의 정치학 / 박진한 <월광의 여름>(1993)과 <호타루>(2001)의 반전의식 제5장 할리우드 전쟁영화의 일본 이미지와 ‘타자’ 인식 / 이택광 <삼나무 숲에 내리는 눈>(1999)에서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2006)까지 제6장 전후 세대의 ‘기념비적 전쟁 기억’과 굴절된 자긍심 / 한정선 <우주전함 야마토>(1974)의 인기비결은 과연 무엇일까? 제7장 BC급 전범재판과 ‘전쟁 책임’의 문제 / 신하경 <나는 조개가 되고 싶다>의 원작(1959)과 리메이크판(2008)에 나타난 기억의 변화 필자 소개
같이 빌린 책
❮
(과학 원리로 재밌게 풀어 본)건축물의 구조 이야기 : 유명한 세계적 건축물을 찾아 떠나는 건축 여행
2013 / 미셸 프로보스트 글 ; 필리프 드 케미터 그림 ; 김수진 옮김 / 그린북
❯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1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 0
2017년 0
2018년 1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0
2023년 0
2024년 0
2025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