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내담자들의 분노를 더욱 건설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출간된 책. 폭넓은 주제를 가지고 일한 미술치료사들이 참여했다. 이 미술치료사들은 아동, 범죄자, 정신건강 내담자, 뇌 손상, 암에 걸린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을 경험하였다.
목차
도입
나만의 여정
분노에 대한 다른 시각들
분노를 다루는 방법: 지역 설문조사
미술치료와 분노
분노 표현의 다른 방식
각 장의 요약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제1부 아동
01 학대받은 아동의 분노
도입
Billy의 이야기
Eliza와 Jamie의 이야기
미술치료의 역할
에필로그
참고문헌
02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 조절 : 급한 성미를 다스리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
도입
아동 및 가족과 함께하기
꺼려하는 참가자
분노 조절 도구함
스케치북
분노 조절 폴더
파란색과 검은색의 호흡 이미지
신체 본뜨기
결론
참고문헌
03 사랑이 없을 때, 분노는 그 빈자리를 채운다 : 위탁 보호 아동
도입
사례연구: ‘아무 상관 없어’
격동의 땅
5개의 화산
모든 것은 중요하다
분노는 고통의 소통이다
분노에 대한 일상 이야기
참고문헌
04 분노와 위험 : 청소년과 자해
도입
중요한 신호
분노와 위험
Jane
Joan
Jules
James와 그의 아버지(Mr.X)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제2부 범죄자
05 내면과 외면 : 교도소 소년 범죄자 대상의 미술치료
도입
‘내부’의 삶
미술치료와 분노의 측면
사례 연구
어린 범죄자에게 끼치는 외부적인 사회요인의 영향
결론
참고문헌
추가 참고문헌
06 안드로클레스와 사자 : 집행유예에 있는 상습범
도입
내담자 그룹
안드로클레스와 사자
분노와 범죄
행동화
분노를 표현하는 하나의 형태로서의 자기 파괴
치료에서의 분노에 대한 역설
사례연구: 평가 과정 시 분노
공격성의 기능
사례연구: 수동적 분노 표현
찰흙으로 만든 코끼리
분노 표현을 위한 가면 활용
Jason의 가면
결론
참고문헌
07 분노는 무엇인가? 안전한 환경에서 표출되는 분노
도입
안전한 환경에서의 분노 표출에 대한 이론
여자 수감자
Mental health medium- secure unit
결론
참고문헌
추가 참고문헌
08 감추어진 분노 : medium-secure setting에서의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도입
내담자 내용
이송을 결심하기 전의 이야기
이송 결정 후 이야기
치료사, 의료팀 그리고 가족
경험에서 배운 점
결론
참고문헌
제3부 정신건강
09 자해 여성에게 있어서 분노의 역할
도입
자해의 정의
이론적인 관점
임상 사례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10 성인 정신건강 프로그램으로서의 인지행동 미술치료
도입
인지행동치료 1세션: 자신의 분노에 대한 자각과 탐색
미술치료1세션 : 분노 그리기
인지행동치료 2세션: 현실의 규칙 선택하기
미술치료2세션 : 아동기 기억
인지행동치료 3세션: 화나게 하는 것을 다르게 인식하기
미술치료3세션 : 어려운 관계
인지행동치료 4세션: 셀프 토크(self-talk)기술 사용
미술치료4세션 : 셀프박스Ⅰ
인지행동치료 5세션: 시각화 사용
미술치료5세션 : 셀프박스∥
인지행동치료 6,7세션: 행동 기술, 설득하기, 공격적 비판 조절하기
미술치료6세션 : 상실과 변화
미술치료7세션 : 후회와 용서
인지행동치료 8세션: 이완, 스트레스 관리, 서로의 분노 조절 돕기, 셀프 토크로 결론짓기
미술치료8세션 : 자기 자신으로부터 무엇을 배웠고,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결론
참고문헌
11장 청각장애 내담자와 분노 이슈 다루기
도입
환경
청각장애인의 문화
청각장애인과의 미술치료
인지행동치료와 분노
미술치료와 분노
사례 연구
결론
참고문헌
제4부 그 밖의 대상들
12 엄마의 분노
미술치료 지지 집단
엄마가 된다는 것
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
권력과 통제, 그리고 ‘자연스럽게’하고자 하는 마음
엄마됨(motherhood)의 피로와 우울의 측면
취약성과 지원 부족
무유수유
결론
참고문헌
추가 참고문헌
13 뇌 손상 후 분노와 미술치료
도입
뇌 손상
뇌 손상의 원인
신경재활 서비스
심한 뇌 손상 이후의 정서적·심리적 이슈
초기 재활에서의 정서적 욕구
미술치료사의 역할
뇌 손상 후 분노: 신경학적·인지적 이슈
사례연구
초기 재활에서의 미술치료의 역할
분노에 대한 몇 가지 생각, 비밀 유지와 위험요인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14 평온하지 않은 상태 : 미술치료와 암
도입
암 치료과정에서의 분노
암센터에서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논의 및 분석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15 ‘돌아왔지만, 집에 온 것은 아니다’ : 전장에서 돌아온 참전용사를 위한 미술치료
도입
베트남전쟁
미술치료 의뢰
미술매체의 역할
분노 이슈
치료의 시작: 비주얼 일기(시각 저널)
미술치료 과정
초기 작품에서 분노의 표현
분노와 원한의 그림 시리즈
분노 이슈로부터의 회복
분노와 해결의 상징
전이와 역전이
결론
참고문헌
부록
기고자 소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