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선험적 문학과 선험적 가난 - 전사(前史):자생적 운명이 시선에서 본 김현과 이청준 1. 비평가와 작가, 두 순교자의 마주 보기 2. 선험적인 것으로서의 유럽 문학 3. 『시학 평전』의 고고학 앞에 선 김현 비평 4. 선험적인 것으로서의 4·19 5. 선험적 가난 앞에 무방비로 노출된 선험적 문학 6. 『당신들로 천국』론이 김현 글쓰기의 절정인 이유 7. 선험적 가난의 창작 방법화
Ⅱ. 이인성 소설, 겉으로 읽기 제1장 『육조단경』과 의발 전수 1. 김현의 의발 전수 2. ‘나의 조국은 프랑스다’의 번역 문제 3. 4·19세대와 전후 세대 4. 4·19세대의 정치적 감각 5. 이인성과 80년 광주의 감각 6. 자기 고백의 길, 정위성 7. 1975년의 관악산 8. 처녀작의 음미 9. 이상의 「날개」와 처녀작의 결말 10. 언어 탐구 속의 이분법 제2장 습작기에서 ‘낯선 시간 속으로’ - 전위성의 근거 1. 이상한 중편 형식 2. 자기 확인의 과정(1) 3. 자기 확인의 과정(2) 4. 자기 확인이 과정(3) 5. 전위성의 재음미 제3장 홀로서기의 또 다른 전위성 모색 - 달마에 헌사를 마친 다음 순서 1. 홀로서기의 과정 2. 소설 곧 근대 소설임을 의심치 않은 이유 3. 전위성의 정체(1) 4. 전위성의 정체(2) 5. 탈춤과 에로티시즘 제4장 탈춤의 미학에 이끌린 곡절 - 「강 어귀에 섬 하나」 읽기 1. 습작기도 실험기도 다한 곳 2. 전위성의 숨 막힘 3. 관악산에서 내려와 물도리동으로 가는 길 4. 탈춤과 성감대 5. 향가 「처용가」, 고려 가사 「처용가」, 궁중 나례 「처용무」 6. 한국인의 미의식 제5장 ‘돌부림’에서 멈춰 선 까닭 - ‘식물성의 저항’이 놓인 자리 1. 이인성의 구도 행각 2. 국보 285호의 반구대 암각화 3. 돌은 어떻게 몸부림조차 쳐야 했던가 4. 원죄 의식으로서의 이분법과 그 극복 방식 5. ‘돌부림’에 걸리 거울
Ⅲ. ‘소리’에 소설을 잃은 이청준과 잃을 뻔한 이인성 1. 무섭고도 즐거운 이청준 2. 의발을 전수받는 방식의 장면 3. 식물성과 관악산 4. 이청준에게서 ‘기적’을 체험한 이인성 5. 원죄 의식으로서의 판소리 6. 소설일 수 없는 ‘소리부림’
서가브라우징
허스토리의 문학2003 / 김양선 지음 / 새미
김유정과의 산책 = (A) walk with Kim, Youjeong2014 / 김유정학회, 곽승숙, 구자희, 김승종, 박정애, 박혜경, 송효섭, 안미영, 오은엽, 우한용, 윤현이, 이덕화, 정현숙, 최병우, 표정옥, 한승옥 편 / 소명출판
김유정과의 산책 = (A) walk with Kim, Youjeong2014 / 김유정학회, 곽승숙, 구자희, 김승종, 박정애, 박혜경, 송효섭, 안미영, 오은엽, 우한용, 윤현이, 이덕화, 정현숙, 최병우, 표정옥, 한승옥 편 / 소명출판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