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재벌을, 그 생성과정부터 발전, 부상, 전면적 지배까지를 풍부한 구체적인 수치와 통계를 통해 분석하며,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재벌의 형성이 곧 지배계급의 형성이었음을 조명한다.
목차
추천사 서문
제1장 l 서론
제2장 l 국가와 사회 1. 후기 자본주의 발전의 이론 2.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출현 3. 국가중심 분석의 강점과 약점 4. 지구화의 도전과 국민국가의 전환 5. 맺음말
제3장 l 발전국가 1. 국가의 계보학 2. 국가의 출현 3. 국가의 과대성장 4. 약탈국가와 전제적 권력 5. '조국 근대화'를 위한 국가 총동원 6. '경제기적'의 비밀: 발전국가와 국가주도 산업화 7. 발전을 위한 동맹: 국가와 재벌의 연합 8. 맺음말
보론 : 코퍼러티즘의 쇠퇴와 몰락
제4장 l 재벌의 등장 1. 재벌과 동아시아 산업조직의 특수성 2. '제국의 후예': 한국 자본가의 식민지적 기원 3. 재벌의 탄생: 정치적 자본과 정치적 자본가 4. 재벌의 사회적 기원 5. 다각화와 복합대기업의 발전 6. 거대재벌과 경제력 집중 7. 외환위기 이후 재벌 8. 맺음말
제5장 l 소유와 통제 1. 가족 자본주의와 관리 자본주의 2. 가족 자본주의는 쇠퇴하는가? 3. 창업자 가족의 전략적 통제 4. 전문경영인의 한계와 가능성 5. 겸임중역과 내부집단 7. 맺음말
제6장 l 권력이동 1. 신자유주의 경제관료의 등장 2. 정치적 민주화와 시민사회의 등장 3. 재벌의 도전 4. 발전국가의 약화 5. 국가와 기업 간 조절의 제도적 배치 6. 맺음말
제7장 l 네트워크와 권력 1. 사회계급과 네트워크 분석 2. 기업 네트워크의 제도화 3. 경력이동 4. 정치적 네트워크 5. 이데올로기 생산의 네트워크 6. 비공식 네트워크 7. 맺음말
제8장 l 지구화, 국민국가, 기업지배구조 1. 민족 자본주의의 문제 2. 국가와 해외자본: 갈등과 협력 3. 외국자본과 국내자본의 합작 관계의 변화 4. 해외직접투자와 지구화 전략 5. 금융 세계화의 충격과 국가의 위기 6. 맺음말
제9장 l 외환위기 이후 1. 신자유주의의 승리와 외환위기의 충격 2. 디제이노믹스(DJnomics)의 딜레마 3. 재벌개혁의 정치경제학 4. 노사정위원회와 사회협약정치의 실험 5. 신자유주의 시대와 시장 지향 국가의 등장 6. 맺음말
제10장 l 새로운 발전 모형을 찾아서 1. 권위주의 코퍼러티즘 국가의 등장과 쇠퇴 2. 가족 자본주의의 약화와 제도적 자본주의의 등장 3. 국가와 사회계급의 이론 4. 재벌개혁과 경제민주화 논쟁 5. 낡은 발전주의 모형을 넘어서 6. 새로운 21세기 발전 모형을 찾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