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I. 바뀌는 세상 : 불확실하고 위험한 세상
1. 정보화 시대의 명암 : 우리는 어디에?
경이롭고 편리한 정보통신!
새롭고 편리함이 준 위험!
정보화 시대에 우리와 자녀에게 필요한 것은?
2. 과학, 기술, 학문의 발전과 우리의 미래?
과학기술의 발전
과학기술의 발전이 내포한 위험
학문의 성장
변화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우리는 어떻게 자신을 개척할 것인가?
3. 열린 세상 다양한 사회, 우리는 어디에?
열리고 연결된 세상
사회 구성의 다양성
열린 사회의 편익과 문제
열린 세상 다양한 사회에서 우리는?
II. 위기의 일상화와 불평등 : 고통의 원천 (1)
1. 위험과 위기의 일상화, 인간애를 찾아서!
위험이 일상화된 한국 사회
경제위기의 연속
2.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교육
최근 한국 사회의 불평등
교육불평등이란?
한국 사회의 교육과 교육불평등
III. 불확실성과 부정의 : 고통의 원천 (2)
1. 새로운 상황, 새로운 문제 : 변화와 불확실성의 시대
예측이 어려운 세상
실업과 위험의 일상화
종합적 고려와 네트워크의 시대
불확실성의 아픔
2. 부정의(불의)의 고통과 정의를 위한 행동
부정의(불의)한 사회
정의이론의 한계
불의의 시정 : 정의를 위한 행동
IV. 고통의 시대, 교육의 역할
1. 고통의 변증법
우리가 겪는 고통의 특징
고통과 ‘부정의 긍정성’
고통의 시대, 행동의 윤리와 논리
2. 고통의 시대와 교육
고통의 시대, 교육의 역할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과 사회정의
3. 고통의 시대, 희망의 교육 : 한국 교육의 지향 원칙
탈바꿈과 재구성을 통한 희망 찾기
성(誠)과 경(敬)을 통한 탈바꿈
희망의 교육
V. 희망을 위한 교육의 탈바꿈
1.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의 재구성
교육목표의 재구성: ‘불확실성과 일상적 위험 및 불평등, 부정의’의 고통을 고려
사회적 공존
교육적 정의의 실현
학습으로서의 실패와 실험정신
정보인지와 지식망에 대한 접근 능력과 태도 형성(핵심역량과 집단지성)
집단지성
2. 학교와 교육행정에 대한 탈바꿈과 인식 전환
개방적 학교와 학습자 중심의 학교
교육행정조직의 재구성 : 민주적·복잡계적 교육조직
신뢰의 회복과 합리적 소통체계 구축
3. 교원양성제도의 개혁
교사 개념의 재개념화
교원양성체제의 탈바꿈과 개편
기대효과
4. 학제의 개편
기초의무교육 단계
전문선택교육(고등교육) 단계
교육정의의 실현과 타 영역으로부터의 지원
5. 학부모와 학교의 관계
학부모 사회와 학교의 현실; 두 세계 이야기
학부모 사회의 교육열과 교육정책
학부모 사회의 “탈바꿈적 공적 시민성”의 회복
학부모를 위한 열 가지 개인적 제언
VI. 결언 : 한국 교육의 희망을 찾아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