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서 수록 논문 발표지 및 연월
제1부 한국 고대의 불교와 사회
제1장 『三國遺事』 遼東城育王塔條의 ‘聖王’
제1절 머리말
제2절 遼東地域의 情勢와 高句麗
제3절 ‘聖王’의 實體와 그 意味
제4절 맺음말
제2장 『三國遺事』 武王條의 薯童說話
제1절 머리말
제2절 武王의 출생과 혼인 그리고 登極
제3절 益山 彌勒寺의 창건과 그 배경
제4절 맺음말
제3장 『三國遺事』 「阿道基羅」 條의 女僧 史氏
제1절 머리말
제2절 불교수용 전후시기의 신라사회
제3절 永興寺 창건과 史氏
제4절 맺음말
제4장 古代 佛敎信仰行爲로서의 造像에 대한 검토
제1절 머리말
제2절造像의 傳來와 起源
제3절造像의 目的
제4절 造像의 社會的 機能
제5절 맺음말
제5장 古代 佛敎信仰行爲로서의 創寺에 대한 검토
제1절 머리말
제2절 創寺의 起源
제3절 創寺의 歷史⋅思想的 背景
제4절 創寺의 目的
제5절 맺음말-歷史的 意味-
제2부 한국 고대의 정치와 외교
제1장 4세기대 신라와 고구려⋅왜의 정치외교관계
제1절 머리말
제2절 4세기 동북아시아 政勢의 흐름
제3절 4세기 초반의 신라와 왜 관계
제4절 4세기 중⋅후반의 신라와 고구려 관계
제5절 맺음말
제2장 통일신라시대 지방행정체제하의 고구려⋅백제지역(주)민
제1절 머리말
제2절 고구려⋅백제지역(주)민에 대한 정책
제3절 고구려⋅백제지역(주)민의 활동⋅생활모습
제4절 고구려⋅백제 지역(주)민의 사회的 위상
제5절 맺음말
제3장 신라 성덕왕(효성왕)⋅경덕왕⋅혜공왕대의 대일외교
제1절 신라 성덕왕⋅효성왕대(702∼742)의 대일외교
제2절 신라 경덕왕대(742∼765)의 대일외교
제3절 신라 혜공왕대(765∼780)의 대일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