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Ⅰ부 서론을 대신하여: 박치우 연구의 잠정적인 계기들
제Ⅱ부 경성제국대학
│Ⅰ│ 경성제대 법문학부의 문학부 철학과
1 경성제대의 의미
2 경성제대 철학과 교수진
3 경성제대 철학과 입학생 및 졸업생들
4 경성제대 폐교와 흩어진 철학자들
│Ⅱ│ 『신흥』과 철학사상
1 『신흥』출간의 철학사상적 배경
2 『신흥』과 철학사상적 논문들
1) 『신흥』창간호
2) 『신흥』제2호
3) 『신흥』제3호
4) 『신흥』제4호
5) 『신흥』제5호
6) 『신흥』제6호
7) 『신흥』제7호
8) 『신흥』제8호
9) 『신흥』제9호
3 『신흥』의 철학사상적 의의
│Ⅲ│ 철학연구회와 『철학』
1 철학연구회와 『철학』발간의 배경 및 그 이후
2 『철학』에 실린 논문들의 내용 및 그 분석
2-1 이재훈
1) 잊을 수 없는, 그리고 「잊혀지지 않는 것」
2) 철학의 ‘입장’과 존재의 물음
3) 민족의식과 계급의식
4) 해방공간과 그 이후의 저술 활동
2-2 박종홍
1) 전체주의와 철학사상적 ‘지성’
2) ‘철학하는 것’의 의문과 실천
2-3 안호상
1) 헤겔 논리학 연구
2) 바우흐의 이론철학 및 이론(지)과 실천(행)의 통일
2-4 신남철
1) 번역, 그리고 헤라클레이토스의 철학
2) 실존철학 비판
2-5 박치우
2-6 전원배
2-7 권세원
2-8 이종우
3 철학연구회 및 『철학』발간의 의의
1) 『철학』의 의미와 철학사상적 시대 상황
2) 『철학』의 연구 경향과 그 규정적 의미
3) 『철학』과 개념적 언어의 전환
제Ⅲ부 박치우의 삶, 또는 생애의 기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집안 내력과 경성제국대학 이전의 시절
1 박치우는 누구인가
2 집안 내력
│Ⅲ│ 경성제대 시절
1 경성제대 예과 입학과 그 시절의 모습
2 경성제대 법문학부 철학과 입학과 그 시절의 활동
│Ⅳ│ 경성제대 철학과 졸업, 그리고 1945년 8ㆍ15해방 이전의 시절
1 경성제대 조수와 평양 숭의실업전문학교 교수 시절
2 『조선일보』의 기자 생활과 경성제대 대학원 입학
│Ⅴ│ 해방공간과 분단체제, 그리고 한국전쟁 이전의 시절
1 박치우의 귀국
2 조선학술원 참여
3 평양 방문
4 조선문학자대회 및 조선문화단체총연맹의 결성과 박치우
5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에서의 활동
6 『현대일보』의 창간과 문필 활동
7 해방공간에서의 『조선일보』와 박치우
8 해주제일인쇄소 및 강동정치학원과 빨치산 활동
│Ⅵ│ 박치우의 삶과 죽음, 그리고 죽음의 상처
제4부 박치우의 철학사상 Ⅰ
│Ⅰ│ 서론: 박치우의 글 및 그 연구 경향
1 글들의 목록과 저서
2 박치우의 철학사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
1) 박치우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 경향
2) 조희영의 서양철학 제1세대 연구
3) 조희영의 박치우 연구
4) 문학비평에서의 박치우 연구와 평가
│Ⅱ│ 사회ㆍ역사적인 위기와 「'위기'의 철학」
1 「위기의 철학」의 객관적 의미
2 「위기의 철학」의 내용과 비판적 의의
│Ⅲ│ 전체주의 철학사상의 인간철학 비판
1 박치우의 인간철학, 그리고 실존철학 비판 Ⅰ: 「나의 인생관: 인간철학 사상」및 「불안의 정신과 인테리어 장래」
2 박치우의 인간철학, 그리고 실존철학 Ⅱ: 「현대철학과 ‘인간’문제-특히 ‘루넷산스’와의 관련에서」와 「불안의 철학자 ‘하이덱겔’-그 현대적 의의와 한계」
제Ⅴ부 박치우의 철학사상 Ⅱ
│Ⅰ│ 『사상과 현실』
1 『사상과 현실』에 이르는 철학사상적인 여정
2 『사상과 현실』의 출간과 그 구성체계
│Ⅱ│ 이론적인 철학사상
1 철학의 당파성과 변증법적 실천 개념
2 ‘운명’의 변증법, 또는 변증법적인 ‘사명’
│Ⅲ│ 사회ㆍ정치철학 비판
1 사회ㆍ정치철학 비판의 서론
2 전체주의 및 파시즘 비판
3 ‘부르주아(시민) 민주주의 비판
│Ⅳ│ 역사철학 비판
1 세대사관 비판
2 3ㆍ1 운동의 해석과 역사관의 문제
│Ⅴ│ 문화철학 비판
1 파시즘적 문화운동 비판
2 국수주의적 문화 비판과 아메리카의 문화
3 학생 풍기(風紀)의 비판과 ‘불온사상의 감염’
│Ⅵ│ 기타, 비판적 단상과 단편들
1 박치우의 ‘저널리즘’의 의미와 비판
2 종교 상업주의 비판
3 일제 잔재의 청산, 그리고 ‘조선에 반미론자가 없는 이유’
4 교육 현실 비판
5 문학론 단편
제Ⅵ부 결어: 박치우의 생애와 철학사상을 되돌아보며
박치우(1909~49)의 연보 및 주요 사건 일지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