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국사(一國史)의 틀을 벗어난 글로벌 시대의 '동아시아가 있는' 한국사. 이 책은 외계충격에 의한 장기 자연재난 현상을 역사 분석의 중심에 둠으로써 농경사회 동아시아의 동요 속에서 한민족이 내외의 충격을 어떻게 흡수하면서 역사 진행의 담당자가 되었는가를 거시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연동의 역사'로서의 '동아시아가 있는' 한국통사로서, 우리 역사에 대한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
목차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제1부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로
1 지구의 역사와 한반도의 선사문화
1. 지구의 역사
2. 한반도의 구석기문화
3. 한반도의 신석기문화
4. 신석기문화에 남겨진 외계충격 현상의 자취
5. 장기 자연재난 속의 종족 이동
2 창세 신화와 외계충격 현상
1. 세계 신화에 남아 있는 외계충격의 자취
2. 단군신화와 천둥번개신
3 청동기시대와 거석문화
1. 외계충격 현상과 청동기문화
2. 비파형 동검문화와 고인돌
4 철기문화의 대두와 고조선의 발전
1. 철기문화 대두의 세계적 추이
2. 한반도 금속문화의 발달 추이
3. 농경의 발달과 금속문화
4. 청동기-초기 철기문화와 고조선
5. 한자의 전래와 문자생활의 시작
제2부 삼국시대
5 삼국의 형성과 국가체제
1. 철기문화와 연맹정치체의 발달
2. 정복전쟁:고대국가로 가는 길
3. 삼국의 쟁패전과 고대국가 체제의 완성
6 삼국의 국가 의식과 종교
1. 고대국가의 통치체제와 신화의 세계
2. 고구려인의 하늘 세계
3. 불교를 통한 신라의 약진
제3부 통일신라시대
7 삼국통일과 귀족 지배체제
1. 정복전쟁의 대단원:삼국통일
2. 정복의 질서:골품제와 군현제
3. 전제왕권의 일원적 농민 지배
4. 호국불교와 교종의 발달
8 장기 자연재난과 내외정세의 동요
1. 다시 찾아온 외계충격의 자연재난(680- 880)
2. 재난 극복의 종교적 노력과 유불선 삼교
3. 장기 자연재난 속의 신라 사회의 피폐
4. 발해의 해외 교역과 신라의 견제
제4부 고려시대
9 지방 호족세력의 대두와 문벌 귀족사회의 형성
1. 중국과 일본에서의 지방 세력의 성장
2. 후삼국시대의 호족세력의 대두
3. 왕권과 호족세력의 대타협
4. 요 및 송과의 관계
5. 본관제 호족 사회의 귀족 정치체제
6. 불교에 의한 정치, 사회질서
10 문벌 귀족 정치체제의 동요와 외침
1. 12세기 외계충격의 자연재난
2. 문벌 귀족 정치체제의 동요와 국제관계의 변동
3. 무신정권과 농민, 천민의 봉기
4. 몽골 침입과 항전
5. 원의 일본 원정과 동아시아 경제
6. 후기 사회의 사상과 종교의 변동
제5부 조선 초기
11 사대부 세력의 등장과 조선왕조의 성립
1. 백성의 새로운 탄생과 신유학 수용
2. 신흥 사대부 계층의 형성
3. 역성혁명과 14세기의 자연재난
4. 명과의 국교 수립
5. 이성계의 집권과 역성혁명
12 중앙집권적 유교 왕정체제의 확립
1. 유교 국가의 표방과 진로 모색
2. 양반 관료체제의 확립
3. 행정과 국방을 겸한 지방제도
4. 국역의 의무와 신분제도
5. 관료제도의 토대:교육과 과거시험
6. 개간시대의 중농정책
제6부 조선 중기
13 사회 동요와 사림세력의 등장 313
1. 외계충격 현상의 도래와 재난의 발생
2. 장기 자연재난 속의 사림세력의 성장
3.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의 심화
4. 불교의 재난 극복 기원과 대중화
14 동아시아의 동요와 전란
1. 장기 자연재난 속의 동아시아 세계의 동요
2. 조-일전쟁의 초기 전황과 위기
3. 전세의 반전과 명군의 참전
4. 무기의 혁신과 전술의 변화
5. 조-청전쟁과 조선의 굴욕
6. 조-일전쟁 후의 일본과의 관계 재정립
15 붕당정치의 전개와 자연재난 극복체제
1. 붕당정치의 성립과 전개
2. 붕당정치의 장치와 기반
3. 국가 운영의 비상체제와 제도 개혁
16 서양 문명과의 만남과 실학의 태동
1. 장기 자연재난과 난파선의 서양인들
2. 북경 선교사들과의 접촉
3. 새로운 천문관과 세계관
4. 새로운 경세론과 실학의 태동
제7부 조선 후기
17 절대군주정의 소민 보호 정치
1. 소민 보호를 표방한 탕평 군주정치
2. 소민 보호를 위한 제도의 재정비
3. 민국 정치이념과 거둥-능행정치
4. 소민 유교사회의 지향과 노비제도 혁파 결의
18 경제의 활성화와 사상계의 새로운 동향
1. 이앙법의 보급과 광작농의 대두
2. 토지의 상품화와 지주제 변동
3. 사상세력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발달
4. 수공업과 광업의 선대제, 매뉴팩처
5. 금속화폐의 발행과 국제교역의 성행
6. 실학의 발달과 세계관의 확대
19 세도정치와 사회 동요
1. 벌열가문의 중앙권력 장악과 정국의 협착
2. 사족사회의 전통적 정치기반의 쇠퇴
3. 신흥 사회세력의 정치적 미성숙
4. 서양 세력의 등장과 천주교의 확산
5. 민란의 발생과 전개
6. 동학의 등장
에필로그
참고 문헌
<부록 1> 역대 국왕 일람
<부록 2> 한국사, 동아시아사, 기타 세계사 간략 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