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라 : 정보와 여론에 속지 않는 필터링 사고법
발행연도 - 2012 / 치키린 지음 ; 정은영 옮김 / 북스넛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5760
-
ISBN
9788991186767
-
형태
257 p. 22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경제학
>
경영
-
카테고리분류
청소년
>
청소년이해
>
청소년 자기계발
책소개
오류 정보의 바다에서 우리는 어떻게 진실을 가려낼 수 있을까? 이 책은 11가지 사회 문제와 개인 문제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진실에 접근하는 생각의 프레임을 정리해주고 있다. 저자는 정보와 여론의 참과 거짓을 구별하는 힘은 “자신의 머리로 생각할 줄 아느냐 모르느냐에 있음”을 차근차근 짚어간다.
목차
머리말
1장 ‘아는 것’과 ‘생각하는 것’은 완전히 별개다- 왜 아는 것은 많은데 사고력은 약할까?
프로야구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자
야구 팬의 연령층으로 생각하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은 어떻게 생각할까?
프로야구는 영원불멸?!
단편적인 사고는 금물
‘사고’는 ‘지식’에 속는다
‘지식’은 과거, ‘사고’는 미래
2장 생각의 0순위는 ‘의사 결정 과정’- 왜 회의를 거듭해도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을까?
중대한 프로젝트의 전말
정보가 아니라 ‘의사 결정 과정’이 필요
의사 결정 과정은 최대한 구체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인풋을 아웃풋으로 변환하는 것
‘작업’을 ‘사고’라고 생각하는 함정
생각하는 시간을 ‘시각화’한다
3장 “왜?”, “그래서 어떻게?”라고 물어라- 왜 출산율은 매년 낮아질까?
숫자를 보면 떠올려야 하는 두 가지 질문
저출산 문제와 관련된 ‘왜?’
합계 특수 출생률을 높여도 저출산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저출산 문제와 관련된 ‘그래서 어떻게 하라고?’
정보와 사고의 균형이 중요
조사하면 알게 될 것을 ‘생각하는 것’의 중요성
정부계의 신문 광고에는 반드시 어떤 배경이 있다
4장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라- 선거에는 어떤 공약이 잘 먹힐까?
늘어가는 생활보호 대상 수요를 어찌 해야 하는가?
‘사고의 누락’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자
모든 가능성을 생각하면 나오는 ‘저가 생활권 구상’
이시하라 도지사는 왜 압승했을까?
구성 요소로 분석하고 모든 조합을 생각하자
5장 종과 횡으로 비교하라- 앞으로 경제는 어떻게 변화할까?
모든 분석의 시작은 ‘비교’!
비교의 기본은 ‘가로와 세로’
역사연표는 최장기 시계열 비교
한국, 중국, 일본의 100년을 비교해 본다
세계 경제의 종횡 비교를 해 보자
영미 지역에도 ‘잃어버린 20년’이 있었다
탈공업화 시대에는 강력한 리더가 필요
과정도 비교해 보라
6장 판단 기준은 단순한 것이 최고다- 나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결혼 상대는?
‘판단 기준이 많으면’ 결정할 수 없다
결혼 상대를 찾는 여성의 두 가지 판단 기준
채용 담당자의 딜레마도 단번에 해결
직업 적성의 네 가지 분류
판단 기준은 ‘목표로 하는 모습’에 따라 결정된다
판단 기준을 압축하면 본질이 드러난다
7장 레벨을 뒤섞지 마라- 정부 조직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아프리카가 하나의 국가?
논의 레벨이 어긋나 있지는 않은가?
정부 각 부처의 명칭을 소비자청 식으로 짓는다면
레벨을 맞추면 진실을 알 수 있다
국가에 정말로 필요한 부처는?
8장 정보가 아니라 필터가 중요하다- 직업을 선택할 때 주의할 점은?
기업의 ‘정보’보다 자신의 ‘필터’를 찾자
취업에 실패하면 필터를 발견하게 된다!
아르바이트로 나에게 맞는 필터를 발견하는 것도 한 방법
일의 네 가지 분류
자신의 필터로 승부하자
9장 자료를 철저히 분석하라- 자살의 가장 큰 원인은?
자살 통계는 믿을 수 있는가?
‘자살이 늘고 있다’는 것은 정확한 표현인가?
전 세계 남녀 자살률에서 알 수 있는 것
‘요약’만 보는 위험
2010년의 자살률은 왜 감소했을까?
10장 그래프가 ‘사고의 생산성’을 좌우한다 - 공과금을 덜 내는 방법이 있을까?
원그래프와 막대그래프의 구분 사용
사고의 생산성을 한층 높여 주는 계단그래프
계단그래프로 2만 엔 절약에 성공
마이너스도 시각화할 수 있다
과정과 계단그래프를 조합하다
사고도 시각화해 보자
11장 지식을 ‘사고의 선반’에 정리하라- CNN, BBC, NHK의 차이는?
9ㆍ11로 드러난 미국, 영국, 일본 미디어의 차이
일본인의 안부만 전하는 NHK
냉철하고 분석적인 BBC
보도 스타일을 사고의 선반에 정리한다
정보 감도를 높이는 사고의 선반
사고의 선반에 맞춰 미리 생각해 둔다
정보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바뀌지 않는 BBC와 바뀐 NHK
‘지식’과 ‘사고’의 이상적인 관계
에필로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