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생성문법이론을 원용하여 제주방언에서의 구문형성의 통사적 특성을 해명하고 있다. 아울러 핵문법을 공유한다고 보는 인근언어인 일본어의구문 분석의 예시를 통한 대비를 보았다. 제주방언의 통사적 특성의 파악뿐 아니라, 다양한 지역에 분화된 뿌리가 같은 언어의 통사적 특성의 이해에 참조가 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머리에
■머리글
■약식 표기 일람

제1장 문법의 체계
1. 문법의 체계
2. 문법체계의 한 모델
3. 문법체계와 관련되는 조건, 제약
4. 마무리

제2장 범주와 자질
1. 문법범주
2. 어휘범주
3. 기능범주
4. 공범주
5. 범주의 통사표상
6. 어휘(핵)자질
7. 비해석자질의 삭제
8. 실사핵과 기능핵의 상대항 선택(자질)
9. 마무리

제3장 구조체
1. 머리말
2. 구조규칙
3. X´ -이론
4. 상대화 X´ -이론
5. DP 분석
6. VP내부주어가설
7. VP 패각구조
8. IP의 분리
9. Kayne의 어순공리
10. 소체구조
11. 마무리

제4장 이동과 재구조화
1. A-위치와 A´ -위치
2. A-이동과 A´ -이동
3. 목적어이동 - 비대격동사
4. 목적어이동 - 피동문
5. 사동문
6. 주제문
7. 마무리

제5장 술어와 문의 형성기제
1. 머리말
2. 어근 핵 V
3. 통사적 접사핵 Af
4. 핵문술어핵 V1
5. 보문기능핵 C
6. 보문통어술어핵 V2
7. 문결말핵
8. 마무리

제6장 중간동사구문
1. 머리말
2. 관련 동사의 유별
3. 중간동사 형성기제
4.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5. 제주방언의 경우
6. 마무리

제7장 격 실현 기제
1. 격의 기능
2. 격부여 기제
3. 격인접성조건
4. 제주방언의 예
5. 격부여자 D
6. 격의 일치술어핵
7. 격의 점검에 대한 논의
8. 마무리

제8장 소위 예외적격표시구문에 대하여
1. 머리말
2. 예외적격표시
3. 보문목적어 인상의 논의
4. 주문목적어의 기저생성
5. 술어부 형성과정의 관점
6. 마무리

제9장 주격목적어구문
1. 머리말
2. 형용사술어문
3. -싶다 구문
4. 가능표현구문
5. 주격목적어의 격부여와 격점검
6. 마무리

제10장 이중목적어구문
1. 머리말
2. 두 목적어의 어순
3. 구조 표시, 작용역
4. 이중대격제약
5. 마무리

제11장 결속이론
1. 결속과 결속조건
2. 결속상의 DP
3. 지배범주
4. 대주어와 접근가능성
5. 완전기능복합(체), BT-양립
6. 재귀화사분석, 해석결속이론
7. LF 이동분석
8. 주어지향성
9. 대명사, 제로(공)대명사
10. 마무리

■끝맺음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사라져가는 전라도 말의 뿌리 : 언어와 문화의 원형을 찾는 여행 사라져가는 전라도 말의 뿌리 : 언어와 문화의 원형을 찾는 여행 2023 / 지음: 위평량 / 21세기사
말의 기억  : [독립출판]  말의 기억 : [독립출판] 2023 / 지음: 조경순 [외] / 광주문화재단 :
전남 완도군 해녀의 삶과 언어 전남 완도군 해녀의 삶과 언어 2023 / 지음: 김경표 / 온샘
전남 진도의 언어와 문화  : 찰로 그라고 그때는 웃기게 살았어 전남 진도의 언어와 문화 : 찰로 그라고 그때는 웃기게 살았어 2012 / 이진숙 지음 / 지식과교양
말하는 제주어 말하는 제주어 2017 / 지음: 강영봉 / 한그루
제주어개론  = (An) Introduction Jeju Language. 상 제주어개론 = (An) Introduction Jeju Language. 상 2011 / 고재환 저 / 보고사
제주어개론  = (An) Introduction Jeju Language. 하 제주어개론 = (An) Introduction Jeju Language. 하 2011 / 고재환 저 / 보고사
제주방언통사론  : 비교통사론 제주방언통사론 : 비교통사론 2011 / 김공칠 지음 / 백산출판
제주도방언의 어휘 연구 제주도방언의 어휘 연구 2014 / 지은이: 김순자 / 박이정
제주 사람들의 삶과 언어 제주 사람들의 삶과 언어 2016 / 지음: 김순자 / 한그루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2014 / 김지홍 지음 / 경진출판
(중국어뱅크)포인트 중국어. 1 (중국어뱅크)포인트 중국어. 1 2018 / 지음: 강금해 / 동양북스
(중국어뱅크)포인트 중국어. 1 (중국어뱅크)포인트 중국어. 1 2018 / 지음: 강금해 / 동양북스
(학부생을 위한) 중국어 통역·번역  : 기본편 (학부생을 위한) 중국어 통역·번역 : 기본편 2013 / 지은이: 강수정 / 다락원
(학부생을 위한) 중국어 통역·번역  : 기본편 (학부생을 위한) 중국어 통역·번역 : 기본편 2013 / 지은이: 강수정 / 다락원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방언의 발견 방언의 발견 2018 / 지음: 정승철 / 창비
인천말 연구 인천말 연구 2017 / 지음: 한성우 / 소명출판
방언정담 : 사람이 담긴 말, 세상이 담긴 말 방언정담 : 사람이 담긴 말, 세상이 담긴 말 2013 / 지음: 한성우 / 어크로스
한국의 언어 민속지 : 전라남북도 편 한국의 언어 민속지 : 전라남북도 편 2010 / 지음: 왕한석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의 언어 민속지 : 경상남북도 편 한국의 언어 민속지 : 경상남북도 편 2012 / 지음: 왕한석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2013 / 정승철 지음 / 태학사
방언 속에 내 고향이 있었네 방언 속에 내 고향이 있었네 2014 / 김성재 지음 / 박이정
(역주)남명집언해. 상-하 (역주)남명집언해. 상-하 2002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제주어 제주 사람 제주문화 이야기 제주어 제주 사람 제주문화 이야기 2015 / 엮은이: 강영봉 / 각
전라도의 말과 문화문화 전라도의 말과 문화문화 2013 / 이기갑 지음 / 지식과교양
한국 방언의 지리적 분포와 변화 한국 방언의 지리적 분포와 변화 2015 / 김경숙 지음 / 역락
정선 방언 사전 정선 방언 사전 2017 / 지음:정선문화원 ; 서종원 ; 이영수 ; 심민기 / 더메이커
평양지역어의 음운론 평양지역어의 음운론 2007 / 이금화 지음 / 역락
충남 북부지역의 전통언어와 문학 충남 북부지역의 전통언어와 문학 2000 / 인권환 ; 성낙수 ; 김연호 지음 / 백산서당
한국의 욕설백과 한국의 욕설백과 1997 / 정태륭 편저 / 한국문원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