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하는 여성’은 더 이상 낯설거나 새롭지 않고, 여성 정체성 형성의 핵심적 이미지로 자리 잡았지만, 우리 역사 속의 ‘일하는 여성’에 대한 기록이나 평가는 대부분 부족하고 희미한 상황이었다. 저자 강이수 교수는 일하는 여성에 대한 통계, 기록, 자료 등을 집적하고 분석하면서 근현대 여성노동의 존재와 의미를 객관적으로 또렷하게 복원해내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_ 여성은 일하고 있다
1부 식민지 공장과 여성노동자
1장 1930년대 면방대기업 여성노동자 상태
머리말
1930년대 면방직업과 여성노동자
면방직 여성노동력의 수습구조
면방직 여성노동자의 노동조건
맺음말
2장 식민지 공장페제와 노동규율
머미말
근대적 제도로서의 공장
'근대적 노동자관'관 조선인
노동자
식민지 공장체제와 노동규율
'근대적 노동자'로 길들이기
맺음말
2부 근대 여성노동 경험과 정체성
3장 근대 여성의 일과 직업관
머리말
식민지 산업화와 근대적 여성직업:직업유형과 사회적 이미지
일제하'직업부인'의 등장과 사회적 담론
'직업부인'의 경험과 정체성
맺음말
4장 여성의 근대 경험과 여성성 형성의 '차이'
머리말
식민지 여성성 형성의 맥락:성별 맥락과 계층별 맥락
식민지하사적 영역으로서의 가족과 여성성
식민지 공적 영역과 여성성:분리와 차별의 내면화
맺음말
5장 근대 여성 서비스직의 유형과 실태
머리말
식민지 산업화와 여성서비스직의 구성
여성서비스직종:'껄(giel)'의 등장과 유형
근대 서비스직 여성의 노동조건과 사회적 이미지:판매, 통신 및 교통 서비스직을 중심으로
맺음말
6장 근대 한국100년과 여성의 삶
머리말
식민지와 전통적 가부장제의 변용
경제성장,조국근대화,권위주의적 가부장제
'페미니즘의 시대'와 가부장제에 대한 도전
맺음말
3부 산업화와 여성노동시장의 변화
7장 여성노동시장 구조 변화1:1920~1960년
머리말
자본주의와 여성노동시장 변화
식민지 시기 여성노동시장 구조와 취업실태
해방,전쟁 그리고 여성노동
전후1950년대의 여성노동시장구조와 취업실태
맺음말
8장 여성노동시장 구조와 변화2:198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의 변화와 여성노동
여성노동력 구조의 변모와 특집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지위와 불평등
맺음말
9장 노동시장의 변화와 일-가족 관계
머리말
노동시장과 일-가족 영역관계 변화
산업화 초기 여성노동시장과 경계 없는 일과 가족:60년-70년대 후반
기혼여성의 임금노동자화와 일-가족 분리의 진전:80년-90년대 중반
여성노동의 보편화와 일-가족 갈등의 심화:90년대 중반 이후
맺음말
10장 가사서비스 노동의 과거와 현재
머리말
가사서비스 노동의 역사적 변화와 의미:이론적 논의
식민지시기 가사서비스 노동자의 등장과 실태
산업화 초기 가사서비스 노동의 특성과 변화
'파출부'의 등장과 가사서비스 노동의 표준화
지구화와 이주의 여성화:'외국인'가사노동자의 증가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