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곡예 종목의 연구 현황과 역사적 전개 양상
제1장 곡예 종목 연구의 현황과 전망
1. 머리말
2. 선행 연구의 시대별 개관
3. 선행 연구의 종목별 검토
가. 줄타기에 대한 연구
나. 땅재주와 솟대타기에 대한 연구
다. 기타 종목에 대한 연구
4. 향후 연구의 전망과 방향
제2장 곡예 종목의 기원과 역사
1. 머리말
2. 곡예 종목의 기원
3. 곡예 종목의 역사
가. 중국 곡예 종목의 역사
나. 일본 곡예 종목의 역사
다. 한국 곡예 종목의 역사
4. 맺음말
제3장 곡예 종목 연희자의 계통과 실체
1. 머리말
2. 세습무(世襲巫) 계통 연희자
3. 북방인 계통 연희자
4. 유랑예인 계통 연희자
5. 맺음말
제2부 한국 줄타기의 연행 양상과 공연 원리
제1장 현행 줄타기 연행 방식의 확립과 전개
1. 머리말
2. 현행 연행 방식의 확립
3. 외줄타기와 쌍줄타기의 병립
4. 쌍줄타기와 쌍줄백이의 비교
5. 맺음말
제2장 줄타기 연희자의 계보와 현황
1. 머리말
2. 줄타기 연희자의 계보
3. 줄타기 연희자의 현황
4. 맺음말
제3장 줄타기의 연행 공간과 도구
1. 머리말
2. 곡예 종목의 연행 공간
가. 근대 이전의 연행 공간
나. 근현대의 연행 공간
3. 줄타기의 연행 도구
가. 연행 대도구-줄·작수목·말뚝
나. 연행 소도구-소품·복식
4. 맺음말
제4장 줄타기의 연행 요소와 특징
1. 머리말
2. 줄타기의 음악
가. 음악 편성
나. 활용 가요
다. 활용 장단
3. 줄타기의 기예
가. 기예의 종류
나. 기예의 계열
4. 줄타기의 재담
가. 언어적 특성
나. 형성 원리
다. 연행 기능
라. 주제 의식
5. 맺음말
제5장 줄타기의 연행 방식과 공연 원리
1. 머리말
2. 줄타기의 연행 방식
가. 줄고사
나. 전반 기예
다. 중놀이
라. 왈짜놀이
마. 후반 기예
바. 마무리
3. 줄타기의 공연 원리
가. 연행 요소의 유기적 결합
나. 극적 긴장의 압박과 이완
다. 연행 공간의 입체적 확장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