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01 민주주의의 심의적 전환
Chapter 01 서 론
Chapter 02 민주주의 이론과 심의적 전환
Part 02 심의민주주의의 이론적 지형과 분석
Chapter 03 롤즈의 공적 이성과 심의민주주의
1. 서론
2. 롤즈의 공적 이성의 개념과 내용
3. 공적 이성과 공개성
4. 공적 이성의 주체: 정치적 인간과 도덕적 인간의 구분
5. 공적 이성 행사의 두 단계
6. 공적 이성의 한계 범위: 포괄적 교리와 단서
7. 공적 이성과 이성의 공적 사용
8. 결론
Chapter 04 굿만과 톰슨의 심의민주주의: 위원회와 중간수준의 민주정치
1. 상호성의 원칙
2. 공개성의 원칙
3. 책임성의 원칙
4. 심의의 내용 원칙: 기본적 자유, 기본적 기회, 공정한 기회
5. 중간수준의 민주정치
Chapter 05 하버마스의 토의민주정치: 절차적 민주주의
1. 절차적 민주주의 모델: 토의민주정치
2. 의사소통행위
3. 하버마스의 보편화용론
4. 담론윤리론
5. 체계와 생활세계: 생활세계의 식민화
6. 시민사회와 공론장
7. 토의민주정치와 법
Chapter 06 애커만과 피시킨의 심의민주주의 날
1. 심의여론조사
2. 심의민주주의 날
Part 03 심의민주주의와 한국사회
Chapter 07 한국 민주정치와 민주시민교육: 적극적 시민 육성을 위한 자유주의적 논의
1. 서론
2. 굿만의 4가지 국가유형과 시민교육
3. 적극적 시민 육성을 위한 자유주의적 방향
4. 결론
Chapter 08 심의민주주의와 한국 민주정치
1. 서론
2. 민주화 이후의 한국 민주정치의 문제들
3. 심의민주주의의 한국적 적용
4. 결론
Chapter 09 한국사회의 갈등과 사회적 화합: 자유주의적 시론
1. 서론
2. 한국사회의 갈등의 유형 및 성격
3. 한국사회의 갈등의 해결과정 및 절차의 특징: 통합성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절차적 해결 관행의 축적미흡
4. 사회적 화합과 국론통일의 방향에 대한 제안: 잠정적 타협과 중간수준의 민주정치
5. 결론
Part 04 결론
Chapter 10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공정사회 담론
1. 서론
2. 한국의 공정사회 담론의 배경과 그 실체적 내용의 딜레마
3. 우리는 어떻게 공정성의 기준을 획득할 수 있는가?: 롤즈의 구성주의와 하버마스의 재구성주의
4. 우리는 어떠한 구체적 내용의 공정사회를 가질 것인가?: 기본구조에 대한 논의
5. 우리 사회의 어떠한 관행이 불공정한가? 그리고 그 원인은 무엇인가?
6. 우리는 어떠한 공정한 사회를 갈망하며, 어떻게 이를 실현할 수 있는가?
7. 결론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