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서 론
제2장 문헌 검토
제1절 노숙인에 관한 개념적 논의
제2절 노숙인 연구의 세 가지 관점과 한계
1. 기능주의적 관점
2. 갈등주의적 관점
3. 정신의학적 관점
제3절 대안적 연구동향과 한계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현상의 본질에 대한 탐구방법으로서 ‘현상학’
1. 현상학의 등장과 의의
2.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
제2절 체험의 본질로 돌아가기
1. 현상에 대한 지향
2. 현상학적 물음의 정식화
3. 연구자의 선이해와 가정들
4. 연구자의 체험에 관한 기술
제3절 실존적 탐구
1. 어원의 추적
2. 노숙인의 문예작품 탐구
제4절 자료의 수집과 분석
1. 연구 참여자 선정과 자료 수집
2. 자료의 분석방법
3. 연구 참여자들의 생애사 요약
제5절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
제4장 현상학적 글쓰기
제1절 집없는 몸
1. 굶주림과 노동의 고통에서 해방될 수 없는 몸
2. 거리세계에서 잃어버린 집을 짓는 몸
3. 집 없는 몸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제2절 집 없는 존재의 타자성
1. 운명공동체에서 낯선 타자로 마주한 ‘가족’
2. 그때마다 ‘그들’과 ‘우리’의 얼굴로 만나는 노숙인
3. 거리세계에서 조우하는 행인들(세인)을 통한 노숙인의 명암
4. 배제와 포섭의 원리에 따라 작동되는 사회적 보호 장치들
5. 집 없는 존재의 타자성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제3절 집 없는 존재의 공간성
1. 거리노숙 이전에 머물던 거주 공간들
2. 거리노숙의 장(場)으로 열려진 일상의 공간들
3. 거주지의 상실을 통해 드러나는 거주공간의 의미들
4. 집 없는 존재의 공간성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제4절 집 없는 존재의 시간성
1. 이미 세상을 떠도는 운명에로 이끌리는 ‘허기(虛氣)’
2. 일상의 ‘권태로움’ 속에 언뜻 내비치는 존재의 ‘불안’
3. 노숙의 일상에서 또 다시 피어오르는 나날의 ‘지루함’
4. '죽음'으로부터 도망쳐 일상의 평온을 기대함
5. 집 없는 존재의 시간성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제5절 ‘집-없음’을 통한 거주의 근원적 의미
1. 집 없음의 실존적 체험을 통해 드러난 거주 이야기
2. 닫힘과 열림의 이중적 통일구조를 통해 드러나는 거주의 의미성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표 차례
<표 1> 노숙인에 대한 주요 관점
<표 2> 네 가지 실존범주를 통해 드러난 거주의 이중적 의미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