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각각 뚜렷한 개성뿐만 아니라 제국으로서의 공톰점 또한 갖고 있던 7개 아시아 제국의 흥망성쇠를 진귀한 사진과 함께 담아냈다. 페이지마다 당시의 찬란한 문명을 생생하게 떠오르게 하는 삽화와 사진들을 가득 채웠으며 각 분야의 전문 역사학자들이 저술한 완성도 있는 내용은 책 뒤의 빼곡한 참고문헌과 주석이 아깝지 않도록, 제국의 역동적인 변화를 섬세하고 흥미롭게 포착하고 있다.
목차
INTRODUCTION 아시아 제국의 특징 / 짐 마셀로스
제국의 구성 요소
황제와 제국
제국 유지
제국의 진전
CHAPTER ONE 중앙아시아 : 몽골 제국 1206-1405 / 티모시 메이
칭기즈 칸의 부상
칭기즈 칸 이후의 몽골 제국
제국의 군사 제도
일반 정치
몽골 제국의 법
쇠퇴와 해체
몽골 제국의 위대함
CHAPTER TWO 중국 : 명 제국 1368-1644 / J. A. G. 로버츠
명의 건국
홍무제의 통치
영락제의 치세, 1403~24
군사적 패배와 만리장성
명의 전제주의
명의 경제
명의 사회
명의 사상, 예술 및 문학
서구와의 접촉
명의 쇠퇴와 멸망
CHAPTER THREE 동남아시아 : 크메르 제국 802-1566 / 헬렌 아이비슨 제섭
제국의 잉태 : 기원후 제국의 초기
종교와 인도 문화의 영향
차크라바르틴, 만국의 군주 : 9세기 초
하리하랄라야 : 9세기 권력 강화
앙코르로의 길 : 10세기 초
거대한 규모의 코케르
핵심 지역으로의 귀향 : 10세기 중반 이후
제국에 대한 갈망 : 수리아바르만의 즉위
북쪽의 세력 : 11세기 후반
수리아바르만 2세와 앙코르와트의 시대
국교로서의 불교 : 자야바르만 7세
쇠퇴기?
크메르 제국
CHAPTER FOUR 소아시아와 그 너머 : 오스만 제국 1281-1922 / 가보르 아고슈톤
세계사에서 오스만 제국의 의미
변경의 공국에서 제국으로
제국과 도전
군사력
제국의 지배
핵심 지역, 변방 지역과 봉신
기나긴 19세기와 오스만 제국의 지속적인 세력
오스만 제국의 업적
CHAPTER FIVE 페르시아 : 사파비 제국 1501-1722 / 수산 바베이
왕이 된 소년
이스마일 1세의 건축과 예술
이스마일 1세의 추락과 샤 타흐마스브 1세의 치세
샤 타흐마스브 1세의 건축과 예술
내란과 샤 아바스 1세
사파비 제국의 수도 이스파한(1598~1722)
세계시민주의와 왕권
후기 사파비 황제들
사파비 제국의 의미
CHAPTER SIX 인도 : 무굴 제국 1526-1858 / 캐서린 애셔
무굴 지배의 시작
아크바르(1556~1605 재위) : 정복과 제국 강화
아크바르의 국가 개념
아크바르의 예술 후원
자한기르(1605~1627 재위)와 샤자한(1628~1658 재위)
자한기르와 샤자한 시대의 예술
아우랑제브(1658~1707 재위)와 후기 무굴 제국(1707~1858)
CHAPTER SEVEN 일본 : 메이지유신 1868-1945 / 엘리스 쿠라시게 팁턴
‘부국강병’
전쟁을 통한 국가 건설
러일 전쟁 : 일본 제국주의의 시작
타이완과 조선에서의 식민 정책
중국의 비공식적 식민지와 전쟁으로 향하는 길
총력전와 대동아 공영권
패전과 제국의 종말
CONCLUSION 제국의 종말 / 짐 마셀로스
서양에서 보는 동양
제국의 종말
새로운 제국과 지배자들
제국의 기억
주석
더 읽을거리
집필진
삽화 출처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