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자와 세계 : 패치워크문명 시대의 공맹 정치철학. 2, 제1권 공자의 지식철학(중)
발행연도 - 2011 / 황태연 지음 / 청계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63195
-
ISBN
9788961270229
-
형태
p. 461-911 24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중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양 정치철학 연구자로서 최근 유가와 주역 등의 텍스트를 소재로 통섭적, 학제적인 연구성과물을 생산해내고 있는 황태연 교수의 신작. 공자사상을 ‘유교문명권’으로 통칭되는 동아시아문명권 및 세계사적 연관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재해석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2장 서구 합리주의와 공자의 계몽
제1절 라이프니츠의 중국관과 유학 연구
1.1. 라이프니츠의 중국 열광과 유럽중심주의
1.2. 적응주의적 선교론의 변호와 유학 해석
1.3. 이진법적 『주역』 해석 시도와 그 오류
제2절 크리스천 볼프의 공자주의와 독일 계몽의 시작
2.1. 볼프의 『연설』: 국외추방과 영웅의 개선
2.2. 『연설』전후 볼프철학의 개요
2.3. 『연설』의 요지: 기독교의 질곡과 ‘신 없는 도덕론’
2.4. 평가와 영향: 유스티와 헤겔의 복지국가론
제3장 ‘유럽의 중국’ 프랑스와 공맹철학의 혁명화
제1절 몽테스키외의 유럽중심주의적 반발과 중국 비방
1.1. 몽테스키외의 중국 비판: 중국전제론과 자가당착
1.2. 중국인 비방: “지구상에서 가장 사악한 국민”
1.3. 자기부정
1.4. 중국의 규범혼합론과 중국선교 불가론
제2절 볼테르의 ‘중국이상국가론’ 과 혁명적 공자철학
2.1. 중국의 경제ㆍ기술에 대한 볼테르의 정보 부족
2.2. 볼테르의 중국 예찬과 몽테스키외 비판
2.3. 볼테르의 공자주의와 공자 숭배
2.4. 볼테르의 유신론적 중국 변호
2.5. 볼테르의 중국선교 폐지론과 혁명적 유럽 비판
2.6. 『중국의 고아』와 중국문명 예찬
2.7. 영향: 디데로, 엘베시우스, 다르장송, 골드스미스, 실루에트
제3절 ‘유럽의 공자’ 케네와 중농주의적 자유경제론의 탄생
3.1. 근대경제학의 창시자 케네
3.2. 공맹의 무위ㆍ양민론과 욕망의 행방
3.3. 사마천과 중국 역대 정부의 자유경제철학
3.4. 케네의 중국모델과 중농주의적 자유경제론
3.5. 『경제표』분석
3.6. 케네의 중국론과 유럽 대개혁의 주장
제4절 친중국 무드와 루소의 편승
4.1. 루소의 중국 찬양
4.2. 『백과사전』에서의 찬양과 회의
4.3. 루소의 자기분열증적 측면
제4장 공자의 ‘무위이치’ 사상과 서구 자유시장론의 형성
제1절 할러의 무위국가론과 ‘리틀 차이나’ 스위스의 탄생
1.1. 스위스의 친중국 그룹과 할러의 정치소설 『우송황제』
1.2. 스위스의 자유경제 확립과 경제 번영
제2절 영국 지성계와 공자의 계몽
2.1. 영국의 공자주의와 친중국 무드
2.2. 영국의 이른바 ‘중영가든’ 과 유럽적 확산
제3절 공맹의 영향과 데이비드 흄의 경험주의 철학
3.1. 흄의 공자 흠모와 중국 예찬
3.2. 흄에 대한 중국과 공자주의의 영향과 그 경로
3.3. 흄의 공자주의적 도덕철학
3.4. 공자의 무위이치와 흄의 자유상공업론
제4절 아담 스미스의 ‘자연적 자유’ 와 자유시장론
4.1. 아담 스미스의 공맹철학 수용 경로
4.2. 공자와 사마천의 ‘무위ㆍ자연지험’ 과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4.3. ‘세계에서 가장 잘사는 나라’ 중국
4.4. 중국의 ‘무위ㆍ자연’ : 케네의 ‘완전한 자유’와 스미스의 ‘자연적 자유’
4.5. 스미스의 공자주의적 공감도덕론: 인이 먼저냐, 의가 먼저냐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