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산업혁명 이래 동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왔으며, 이것을 화학적으로 발전하는 구조로 변경시킨 것이 연료전지이다. 이에 따라 이 도서는 각 파트별로 연료전지의 시작, 연료전지의 기본,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연료전지, 보급 문제 등에 관하여 알기쉬운 설명과, 일러스트로 각 파트별 연료전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목차
Chapter 01 연료전지의 시작 01 원형은 19세기 중반에 02 상온 사용도 가능 03 베이컨전지의 탄생 04 아폴로 계획에 채 05 우주개발로 인한 성과 06 자동차용의 개발
Chapter 02 연료전지의 기본 08 여러 종류의 연료전지 09 전기분해와 연료전지 10 여러 전극재료 11 고체고분자형의 개발원리 12 소형·경량인 고체고분자형 13 상용화에 가장 가까운 인산형의 개발원리 14 긴 수명을 달성한 인산형 15 용융탄산염형의 발전원리 16 산업용 코제너레이션도 목표로 하는 용융탄산염형 17 고체산화물형의 발전원리 18 대규모 발전과 소형 전원을 목표로 하는 고체산화물형 19 도시가스로부터 수소를 만들어 내는 개질기 20 직류를 교류로 바꾸는 인버터 21 연료전지발전 시스템 22 컴팩트한 패키지
Chapter 0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연료전지 23 깨끗하며 고효율인 발전 시스템 24 가반(可搬型: portable type)용 250W부터 전력용 11,000kW까지 25 하수처리장 / 맥주공장에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26 음식물쓰레기가 전기로 재탄생 27 병원이나 호텔에서의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28 직류로부터 살균제를 만들 수 있다 29 화재 시에 샤워를 할 수 있다 30 정전이 없는 전력공급 시스템 31 이벤트회장에 자동판매기를 설치 32 전기가 나오는 급탕기 33 휴대전화나 컴퓨터의 전원에도 사용된다 34 마이크로 코제너레이션과의 경합
Chapter 04 자동차에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 35 전기자동차와 어디가 다른가? 36 연료전지차의 여러 가지 시스템 37 수소직접형 38 수소연비의 측정법 39 메탄올 개질형 40 가솔린 개질형 41 다이렉트 메탄올 연료전지(DMFC) 42 하이브리드 연료전지차 43 연료전지차용 전용 부품 44 세계의 자동차 메이커의 착수 45 세계를 리드하는가? 자동차 메이커 46 공공도로실증(해외편) 47 공공도로실증(국내편)
Chapter 05 보급에 대한 과제 48 수소저장탱크(고압탱크) 49 수소저장탱크(수소흡장합금) 50 카본 나노튜브 51 인프라를 어떻게 할 것인가?(수소제조) 52 인프라를 어떻게 할 것인가?(수소 스테이션) 53 가볍고, 컴팩트하게 54 연료전지의 가격은 어디까지 내릴 수 있을까? 55 총합에너지 효율에서 본 연료 선택 56 연료전지차의 안전성 57 규제완화와 법률의 정비 58 국가의 지원 59 표준화를 위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