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과거의 외환정책 이야기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외환정책, 이와 관련한 핵심 이슈, 그리고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저자의 생생한 경험과 해박한 국제 금융 이론에 기반해 쓴 책으로, 외환을 직접 다루는 금융기관이나 기업 관계자와 일반 독자들이 외환정책을 이해하고, 외환정책 실무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Prologue
1 외환정책 운영 체계
1. 외환정책의 목표와 범위
2. 외환정책 기관과 외환업무 감독ㆍ검사 기관
3. 외환정책 대상 기관
2 환율
1. 환율의 개념
2. 환율의 종류
3. 환율 결정 이론
3 환율정책
1. 환율정책 현황
2. 환율 변동의 영향
3. 핵심 논점
4 외화유동성 관리
1. 한국은행의 외화유동성 공급 제도
2. 스왑거래 방식
3. 외화대출 방식
4. 핵심 논점
5 외환보유액 관리
1. 외환보유액의 개념
2. 외환보유액의 기능
3. 외환보유액의 운용과 구성
4. 외환보유액의 변동 요인
5. 외환보유액의 적정성
6. 핵심 논점
6 외채 관리
1. 외채의 의의와 분류
2. 외채 현황
3. 핵심 논점
7 자본자유화 추진
1. 자본자유화의 의의와 제도 변천
2. 자본자유화 현황
3. 핵심 논점
8 외환건전성 규제 체계
1. 외환건전성 규제의 의의와 목적
2. 우리나라의 외환건전성 규제 체계
9 거시 외환건전성 규제
1. 외화예금에 대한 지급준비금의 최저 한도 설정
2. 금융기관의 외화대출 용도 제한
3. 금융기관에 대한 외환포지션 한도 설정
4. 금융기관에 대한 거시건전성부담금 도입
5. 핵심 논점
10 미시 외환건전성 규제
1. 외화자산 및 외화부채의 비율 설정
2. 역외금융 관리
3. 위험관리기준 설정.운용
4. 핵심 논점
11 앞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 과제
1. 외환정책의 개선 방향
2. 여섯 가지 정책 과제
Epilogue
부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