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제1부 시학을 위한 예비적 고찰
1장 주체 : 화자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1.'화자=자아=시인=실체' 라는 가상
2. 주체란 무엇인가?
3. 주체에 관한 논의들
4. 화자에서 주체로
2장 대상 : 시적 대상은 주체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1. 주체와 대상
2. 대상은 어떻게 주체를 산출하는가?
3. 대상은 어떤 지평에 놓여 있는가?
4. 대상을 경유하여 생겨나는 주체
3장 언술 : 시적 언어의 특질은 무엇인가?
1. 주체와 언어의 유형
2. 시적 언술의 유형
3. 주체와 언어의 성격
4장 서정 : 서정시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1. 기존의 서정시 정의에 관하여
2. 서정시의 정의
3. 서정시의 두 영역
제2부 시학의 여러 영역들
5장 거리 : 어조란 무엇인가?
1. 어조의 정의
2. 어조의 기본 형식
3. 어조의 의의
6장 이중화 : 역설과 반어는 어떻게 생겨나는가?
1. 역설과 반어란 무엇인가?
2. 유비와 대조(반어)
3. 반어와 역설의 예
4. 반어와 역설의 자리
7장 비유 : 비유이론의 전제에 관하여
1. 비유의 전제
2. 비유 연구의 역사
3. 언술의 장(영역)에 관하여
8장 비교 : 은유란 무엇인가?
1. 언술 차원의 비유에 관하여
2. 은유란 무엇인가?
3. 은유의 범위-제한적인 은휴와 전면적인 은유
4. 은유의 유형
9장 체계 : 제유와 환유란 무엇인가?
1. 제유
2. 환유
3. 은유, 환유, 제유의 논리적 성격
4. 제유와 환유 시사(詩史)의 가능성
10장 좌표 : 상징과 알레고리는 어떻게 생겨나는가?
1. 상징
2. 알레고리
11장 역피라미드 : 다섯 가지 비유의 상호 관계는 어떠한가?
1. 비유의 도식
2. 비유의 삼각형
3. 뒤집힌 피라미드형(型)
12장 음악 : 시의 율격에 관하여
1. 기존의 운율론
2. 운율의 이론
3. 운율의 실제
4. 다른 시편들의 예
5. 현대시의 운율
13장 소리-뜻 : 음운은 어떻게 의미화에 기여하는가?
1. 운율과 의미의 상관성
2. 음운적 의미의 유형
3. 음운적 의미와 현대시
14장 인용 : 인유와 패러디의 위상에 관하여
1. 인유와 패러디
2. 패러디의 범위-제한적인 패러디와 전면적인 패러디
3. 패러디의 위상
4. 패러디의 현대적 쓰임
15장 감각 : 이미지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1. 감각의 논리
2. 이미지에 대한 오해
3. 감각의 배치-이미지의 활용
4. 이미지와 감각
제3부 시학의 지평
16장 환상 : 환상의 영역을 어떻게 탐색할 것인가?
1. 사실성과 환상성
2. 환상의 영역-뜨거운 환상과 차가운 환상
3. 네 가지 환상
17장 추(醜) : 추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1. 미와 추의 상관 관계
2. 추의 네 영역
3. 미의 발생지로서의 추
18장 전위 : 전위를 어떻게 유형화할 것인가?
1. 시사와 전위
2. 전위의 유형과 기법
3. 전위의 유형과 의의
19장 변화 : 최근 시의 수사학에 관하여
1. 새로운 혹은 하위의 수사학
2. 최근 시의 수사학
3. 최근 시의 변화에 관하여
용어 찾아보기
인명 및 작품 찾아보기